|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Child Stud > Volume 39(6); 2018 > Article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on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to identify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in the education fiel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four-year-old children and 20 five-year-old children at two kindergartens in J provinc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the comparative group was offered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for the same period. Pre-post data were collected for both groups and then analyzed via ANCOVA.

Result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higher increase in physical self-concept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higher increase in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creasing both physical self-concept and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in young children. Therefor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are suggest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increase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in the education field.

Introduction

유아에게 움직임은 내면적인 상상의 세계, 일상에서 느끼는 문제나 갈등, 느낌을 표현하는 수단(M. J. Kim, 2008)으로,Pica (2013)는 인간 본성의 표현을 위해 움직임을 유아기에 경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유아는 움직임을 통해 여러 동작을 습득하고, 상상력과 창의력을 갖게 되며, 각 발달 영역의 증진을 도모함으로써 전인발달의 기초를 형성한다. 따라서 신체표현활동은 운동능력이 급격하게 발달하는 유아기에 특히 풍부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전히 유아교육현장에서는 공간부족, 안전사고에 대한 염려 등으로 인하여 움직임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S.-L. Lee, Kim, & Han, 2010), 교사들은 움직임활동에 대한 교수방법과 교사의 역할 등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Chi & Oh, 2012).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신체표현활동의 중요성을 알고 이를 위한 교수법의 통합이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교수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Story+Telling’이 합쳐진 개념인 스토리텔링은 선사시대 때 모닥불에서 화자와 청자들이 함께 이야기를 구성하고 간단한 사건을 공유했던 것이 시초로(Miller, 2012), 화자의 일방적인 이야기를 청자가 듣는 행위를 뜻하는 전통적인 개념에서 청자와 화자간의 소통과 현장성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은 실제적 맥락과 연결된 스토리를 통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M.-S. Kang, 2013), 활동 맥락을 학습자의 경험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보여주는 과정에서 감정이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Y. J. Choi & Kim, 2005). 다양한 스토리 구성을 위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공유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식을 생산해내면서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M. Kang & Kim, 2012), 스토리텔링의 풍부한 맥락은 학습자의 감성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Mello, 2001)하는 데 효과가 있다.
특히 유아기는 어떤 시기보다 ‘주변세계를 의미 있게 서사화하는 이야기적 능력’이 풍부한 시기이므로 스토리텔링을 유아교육에 활용하였을 때 그 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수업은 스토리텔링이 가장 강력하고 생생하게 발생하는 현장(Koki, 1998)으로 스토리텔링의 적극적 활용에 대해 생각해 볼 가치가 있다.Ellis와 Brewster (1991)는 추상적인 내용을 구체적인 이야기를 통해 경험할 때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유아의 특성으로 인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스토리텔링은 유아들이 타인의 삶과 세상을 자신들의 방식으로 이해하게 하는 중요성을 갖는다고 설명하였다.
국내 유아교육연구 분야에서도 그동안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수학습모형을 구안하려는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언어(J. Choi & Park, 2017), 수학(K.-P. Kim & Kim, 2014), 과학(M. J. Kim & Cho, 2016), 음악(M.-S. Choi & Ahn, 2014), 신체(J.-A. Lee & Kim, 2017), 미술(M. H. Lee, Kim, & Kang, 2016), 요리(Lim & Park, 2015) 활동에 스토리텔링을 교육적으로 활용한 연구가 있다. 하지만 이들 선행 연구들은 스토리텔링이 유아 중심으로 유아와 교사간의 역동성의 특성을 갖는다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교사가 준비한 이야기를 유아에게 들려주는 교육적 활용에 머무른다는 아쉬움이 있다.
유아의 신체표현활동은 표현의 의도와 주도성 소재 여부에 따라 시범율동(구조적 동작활동)과 창의적 신체표현활동(비구조적 동작활동)으로 나누며(E. Kim, 2007), 특히,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은 유아 나름의 동작을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표현하는 활동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유아가 주도적으로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며 의미를 갖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수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실제 교육현장에서 유아가 주체가 되어 화자와 청자의 역할이 전환되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체적 자아개념은 자아개념의 한 요소로 신체와 외모, 신체 능력에 관한 지각내용이다. 특히, 신체적 자아개념의 향상은 총체적 자아개념의 변화로 이어지는 연결고리(Ha, 2002)이기 때문에 유아기에 이를 긍정적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신체를 움직이는 활동을 통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이 긍정적으로 발달함을 밝히고 있는 다양한 연구들(S. G. Hwang, 2001;Yun, 2005)과 유아가 이야기를 구성하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자신에 대해 돌아보며 자아개념을 형성한다는 H.-J. Lee (2004)의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통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활동에의 몰입은 유아로 하여금 자발적인 주체자로 적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므로(M.-S. Choi & Ahn, 2014) 유아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내적동기가 유발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자신의 신체적 자아개념을 향상시켜 나갈 수 있다.
신체적 자아개념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기초체력 증진 등 신체활동과 관련하여 이루어졌지만 이야기를 활용한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야기 속에서 유아가 몰입하며 긍정적인 경험을 시도해나갈 수 있는 스토리텔링을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에 적용하였을 때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한편,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이란 유아의 감정과 사고를 신체를 통해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의미한다.Laban (1963)은 다양한 신체표현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성장해 나간다고 밝히며, 신체표현활동과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의 관계를 밝히고 있다.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은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긍정적(M.-H. Hwang, 2015; Jang & Choi, 2012)이며, 특히, ‘〜처럼 해보기’와 같은 극적 접근은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적합하여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신장에 효과적이다(E. Kim, 2007). 이야기가 상상력을 증진시킨다는Ahn (2010)의 연구와 유아가 이야기에 빠져들면 등장인물로의 전이가 쉽게 이루어져 등장인물의 느낌과 감정을 정교하게 표현하고, 독특한 표현을 하게 된다는Park (2014)의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통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아에게 친숙하고 구체적인 맥락의 스토리텔링은 유아의 신체표현의 다양성과 방향성, 시간성과 흐름의 변화, 그리고 표현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스토리텔링의 내용 구성과 맥락성은 유아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유용한 매개체이므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은 단순한 것 이상의 표현적 움직임을 만들어내며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을 증진시켜 나갈 수 있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창의적 신체표현능력과 직접적인 관련을 밝힌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친숙하고 맥락있는 상상을 통해 이야기를 나누며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돕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통해 유아는 이야기라는 본연의 흥미로운 장점을 바탕으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자신감과 유능감을 증진시켜 나갈 것이다. 또한 이야기를 함께 구성하고 창의적 움직임으로 표현하며,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동시에 효과적인 창의적 신체표현활동 교수학습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 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Methods

연구대상

본 연구는 J도에 소재한 A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 4, 5세 혼합연령학급 유아 18명(실험집단)과 B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 4, 5세 혼합연령학급 유아 18명(비교집단)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집단은 사회, 경제, 문화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되었고, 평균 연령은 실험집단은 68.28개월, 비교집단은 67.83개월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 = .22, n.s.).

연구도구

신체적 자아개념

본 연구에서는Marsh와 Richards (1994)의 신체적 자아기술 질문지(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를 토대로 S. G. Hwang (2001)의 ‘유아 신체적 자아개념 척도’와 B.-J. Kim (2001)의 ‘한국판 신체적 자아개념 척도’를 재구성하여 타당성 검증을 실시한Yun (2005)의 ‘신체적 자아개념 검사’를 사용하였다. 하위요인은 ‘외모’, ‘운동 유능감’, ‘체력’, ‘건강’으로 각 하위요인의 문항 수는 4문항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니다 (1점)에서 아주 그렇다 (4점)으로 4점 Likert 척도로 되어있다. 평가척도그림카드를 이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가 유아와 1:1 면접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a는 .75로 나타났다.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본 연구에서는Laban (1963)의 이론을 기초로Bae (1991)가 작성한 검사 도구를 E. S. Kim (1995)이 수정한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하위요인은 ‘다양성’, ‘방향성’, ‘시간성’, ‘흐름변화’, ‘표현성’으로 3가지 동작 과제를 제시하고, 각각의 요인에 따라 매우 단순하다(1점)에서 매우 다양하다(5점)의 5단계 평정척도 방법으로 측정한다. 나뭇잎(자연), 팽이(사물), 바닷속(생물)을 주제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가 3명씩 소집단을 구성하여 과제에 따른 유아들의 신체표현활동을 녹화한 Video Tape Recorder (VTR)을 반복하여 보면서 유아 1명씩 평정하였다. 본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77로 나타났다.

연구절차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 선정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 선정은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4세 누리과정 지도서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MEST]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W], 2013)와 5세 누리과정 지도서 (MEST & MW, 2013)에 수록되어 있는 신체활동 중 실험기간 동안의 유치원 생활주제를 기초로 하여 26개의 주제를 1차 선정하고, 이를 교육경력 5년 이상인 교사 5명과 유아교육전문가 2명이 검토하여 최종 18개 주제를 선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유아의 경험과 흥미를 고려하고 구연의 적절성 등을 토대로 하여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결말이 있는 완성된 이야기가 아닌 스토리텔링을 이어나갈 수 있는 개방적인 이야기를 구성하여 유아가 이야기의 화자가 되어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유아교육 박사과정을 졸업한 전문가 1인과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현직교사 2명으로부터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선정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의 내용은 Table 1과 같다.

예비연구

본 연구대상 유아와 사회경제적 배경이 비슷한 H유치원의 만 4, 5세 유아 6명(남: 3명; 여: 3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와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교사 및 검사자 훈련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담임교사에게 먼저 본 연구의 목적, 신체표현활동의 방향, 교사의 역할, 지도상의 유의점 등에 대하여 2회의 교사교육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처치할 활동의 내용, 방법, 진행과정에 익숙해지기 위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2회의 모의수업을 실시하며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각 집단의 신체적 자아개념 검사와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검사는 본 연구자가 실시하였다. 신체적 자아개념 검사는 본 연구자가 유아들을 모두 검사하였으며,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검사 또한 본 연구자가 유아의 동작반응을 VTR로 촬영하여 평가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훈련을 실시하지 않았으나 검사내용과 방법, 검사시간, 평정방법 등을 충분히 숙지하여 진행하였으며, 유의사항에 대해 유아교육 전문가와 협의한 후 이를 본 검사 시 적용하였다.

사전검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22일부터 2015년 6월 26일까지 5일간 유치원의 하루 일과 중 방과후과정(14:00〜15:30) 시간에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빈 교실에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은 2015년 6월 29일~2015년 8월 14일까지 7주에 걸쳐 총 18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활동단계 및 과정 실험집단의 활동단계 및 과정은Slater (1993)의 통합적 동작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절차 및 내용과Ellis와 Brewster (1991)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 보완하였다.Ellis와 Brewster (1991)는 경험을 회상하며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스토리텔링 전 활동’, 이야기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며 유아의 참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 본 활동’, 관련 활동을 하며 유아의 이해도를 점검하는 ‘스토리텔링 후 활동’의 총 3단계 스토리텔링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의 진행 절차는 Figure 1과 같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은 유아가 자발적 동기 유발로 인하여 즐겁게 몸을 움직이며 자신의 신체인식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활동목표로 한다. 또한, 유아가 구체적인 맥락에서 자극된 상상력을 바탕으로 주제에 대한 신체표현을 창의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활동목표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총 18회의 활동에서 공통적으로 각 회기의 신체표현 주제에 대한 관심 및 개념 알기, 신체표현활동에 즐겁게 참여하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긍정적 경험하기, 신체를 이용하여 주제의 움직임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총 3개의 활동목표를 설정하였다. 예로, Table 2에는 ‘빗방울의 움직임’에 대한 활동목표를 확인할 수 있다.
도입 단계에서 교사는 열린 결말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가 상호작용하며 유아에게 친근하고 맥락적인 이야기를 함께 구성하였다. 실제로 데굴데굴 구르다 커다란 공룡 때문에 멈추는 깜짝 놀란 나뭇잎 등 유아들이 좋아하는 환상적인 요소와 유아가 실제 삶 속에서 보고 느꼈던 내용들이 스토리텔링을 통해 흥미롭게 구성되었다. 전개 단계에서 유아는 함께 구성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자유롭게 몸을 움직이며 움직임을 익히고, 창의적인 표현을 하였다. 이 단계에서도 스토리텔링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유아는 상상하고 상호작용하며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을 이어나갔다. ‘빗방울의 여행’ 활동을 하며 유아들은 자동차 바퀴에 튕겨져 왼쪽, 오른쪽으로 튕겨 나가는 빗방울의 모습을 표현하였으며, ‘춤추는 인형’ 활동을 할 때는 인형의 모습만을 표현하기 보다는 돌다가 멈추고,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 모습 등을 표현하며 주제에 대한 밀도 있고 다양한 표현을 하였다. 마무리 단계에서 유아는 활동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하였다.
이상의 활동은 만 4, 5세 혼합연령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혼합연령학급은 단일연령 집단보다 상호작용이 더 활발하게 나타나며, 어린 유아들은 자연스럽게 발달을 성취할 수 있고, 나이든 유아는 자신의 지식을 심화, 확장시킬 수 있는(MEST, 2013) 장점이 있다. 특히,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은 상호작용이 많으므로, 혼합연령학급에서 활동을 진행하고, 혼합연령(복식)학급 교사용 지도서(MEST, 2013)에서 제시한 짝지어 활동하기, 공유하기, 협력하기, 분업하기 등의 연령 간 연계 전략을 활동시에 반영하였다.

실험집단 활동계획안(Table 2)

비교집단의 활동단계 및 과정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이야기 나누기를 바탕으로 한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을 진행하였다. 도입단계에서 유아의 경험을 회상하며, 사진이나 그림 자료 등을 제공하며 주제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었다. 전개 단계에서Slater (1993)의 통합적 동작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절차의 ‘움직임 익히기’ 와 ‘창의적 표현하기’의 과정을 진행하며 움직임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신체표현을 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내 몸은 빗방울’ 여행을 할 때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방울, 우산 위에서 떨어져서 흘러내리는 빗방울 등 각 회의 주제에 대한 창의적 신체표현을 실시하였다. 마무리 단계에서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활동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하였다.

사후검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18일부터 8월 22일까지 5일에 걸쳐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 방법, 시간과 장소에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의 사전, 사후 검사로 수집된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Results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관한 평균 및 표준편차는 Table 3과 같고, 공변량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운동 유능감(F = 24.06, p < .001), 체력(F = 25.66, p < .001)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F = 0.72, n.s.), 건강(F = 0.20, n.s.)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아개념 전체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 = 41.09, p < .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관한 평균 및 표준편차는 Table 5와 같고, 공변량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동작의 다양성’(F = 19.83, p < .001), ‘동작의 방향성’ (F = 16.90, p < .001), ‘동작의 시간성’(F = 24.57, p < .001), ‘동작의 흐름변화’(F = 27.48, p < .001), ‘동작의 표현성’(F = 14.31, p < .01)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전체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 = 65.73, p < .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Discussion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의미있게 향상되었다. 이는 스토리텔링이 이야기에의 몰입을 통해 내적 동기를 유발시켜 신체표현에 있어 스스로 해내고 싶다는 욕구와 자신감을 향상시켰다는Park (2014)Ryu (2015)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초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스토리텔링 표현활동이 긍정적인 자아인식을 얻게 한다고 밝힌 H.-C. Lee (2014)의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에게도 이와 동일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 스토리텔링이 주는 내재적인 흥미와 동기는 유아가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에 몰입할 수 있게 하고, 이야기를 자신의 신체로 표현하고 싶은 긍정적인 동기를 갖게 한다. 유아들은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이 신체로 할 수 있는 것을 인식하고, 성공적으로 몸을 움직여보며 신체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신체적 자아개념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은 아니지만 신체활동이 외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Cho (2011)H.-Y. Choi (2008)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미 만 5세 유아들도 자신의 신체상을 평가하고, 신체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준을 내면화하며(H.-Y. Kim, Kim, & Kim, 2012), 성장하는 동안 서서히 형성된 외모에 대한 자아개념은 단기간에 변화되지 않는다(Cho, 2011).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의 실험처치로 인해 유아의 외모에 대한 자아개념을 단기간에 바꾸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운동 유능감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높은 성취감을 느꼈음을 밝힌Park (201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신체표현에 소극적인 유아도 스토리텔링을 통해 스스로 동작을 찾아내는 적극성을 발휘하고,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껴갔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통해 유아는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는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운동 유능감을 인식한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체력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M.-H. Hwang (2015)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유아가 구성한 이야기속의 상황과 맥락은 유아에게 다양하고 많은 움직임의 경험을 제공하였고, 이야기는 유아가 자연스럽게 이동, 비이동, 조작운동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극적인 기회를 제공하였다. 내재적 동기가 유발되어 참여하는 활동에서 유아는 다양하고 적극적으로 신체를 조절하며, 능숙하고 숙달된 자신의 체력을 점차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넷째, 건강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은 아니지만 신체활동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Chang (200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유아는 특정한 사건에 대해 기억을 집중시키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유아는 “나는 아파서 병원에 자주 간다(4번 문항).”, “나는 감기에 잘 걸린다(12번 문항).”와 관련한 내용을 반복해서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통해 유아가 자신의 몸이 건강해졌음을 인식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유아의 인식의 변화를 위해 일상생활을 통한 꾸준한 신체활동이 주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의미있게 향상되었다. 이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구체적인 스토리를 통해 더욱 다양한 표현을 돕기 때문에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밝힌 H.-J. Kang (2006)Park (2014)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스토리텔링이 유아의 상상력을 발달시킨다는Ellis와 Brewster (1991)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물활론적, 상징적 사고의 특성을 갖는 유아들은 무궁무진한 이야기를 생성하고 공유하는 스토리텔링을 무척 즐겁게 여겼고, 스토리텔링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길러주는 훌륭한 발판으로 작용하였다.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해 유아는 이야기 속 역할로 자연스럽게 전이되었다. 유아들은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에 더욱 적극적이고 즐겁게 참여하면서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작의 다양성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에서 창의적으로 움직임을 구성하고 독창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는 H.-C. Lee (201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신체표현을 할 때 이야기의 활용이 유아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이끌어내는데 적합하다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MEST & MW, 2013)’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유아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다양한 내용을 상상하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표현을 찾아내었고, 이로 인해 동작의 다양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동작의 방향성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활동을 통해 기본동작과 기본요소를 탐색하며 다양한 방향변화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M. J. Kim (2008)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이는 스토리텔링이 적극적으로 앞, 뒤, 옆, 위, 아래 등과 같이 여러 방향에 대해 탐색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기 때문에 유아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에 참여하면서 동작의 방향성에 친숙해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동작의 시간성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이야기의 환상적 요소가 유아가 이야기에 주의집중 할 수 있게 하여 신체로 표현해보는 경험 또한 지속적으로 하게 하면서 동작을 지속하는 시간이 길어진다고 한Ahn (2010)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함께 구성하여 완성한 이야기는 유아들의 발달 특성으로 인해 극적인 접근과 시간적 요소를 포함하였고, 이로 인해 유아는 다양한 시간적 요소를 경험하여 동작의 시간성이 향상된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동작의 흐름변화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야기를 이해하고 이야기의 내용을 움직임으로 표현함으로써 흐름의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밝힌Ahn (2010)의 결과와 일치하며, 스토리텔링은 인과관계나 논리적 관계, 시간의 흐름에 대한 구조 개념을 갖게 한다는Egan (1986)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한다. 스토리텔링은 단순히 이야기를 회상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인지구조와 함께 새로운 도식을 만들고 이야기를 결합해 나가도록 한다. 유아들은 구성한 이야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동작으로 표현해보는 활동을 경험하였고, 이로 인해 유아의 동작의 흐름 변화에 효과를 주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동작의 표현성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가 신체표현활동을 해봄으로써 주제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는Oh, Seo와 Ha (2013)의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Ahn (2010)은 유아들이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하면서 등장인물의 특징, 역할, 사건 등을 이해하게 되어 주제에 적절한 신체표현을 하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는데, 이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이야기적 요소를 담고 있고, 유아를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동일하게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해볼 수 있다. 유아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친숙하고 흥미 있는 이야기를 구성하기 때문에 이야기의 내용을 신체로 표현함에 있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을 하였다. 유아의 내재적 동기, 경험, 신체표현이 강하게 연결됨으로 인하여 유아의 동작의 표현성이 향상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유아는 스토리텔링 활동에의 몰입을 통해 적극적으로 몸을 움직여보면서 자신의 신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신체적 자아개념이 높아졌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은 유아에게 신체 능력에 대한 유능감을 높여 신체적 자아개념을 증진시킨 것이다. 또한, 유아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표현해보는 경험을 하며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유아에게 스토리텔링은 구체적인 맥락에서 풍부한 상상력을 자극하는 기회가 되었고, 더욱 창의적인 표현을 도울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하여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이 높아진 것이다.
교사와 유아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은 유아의 능동적 학습의 관점에서 진정한 몰입을 이끌어내어 유아에게 유의미한 신체표현활동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따라서 신체표현활동에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는 것은 유아의 신체표현활동 교수학습방법에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현장에 이를 적용하여 유아 발달에 있어 중요한 신체적 자아개념과 창의적 신체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교육 방안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본 연구에서는 만 4, 5세 혼합연령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단일연령 집단에 대한 효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단일연령을 대상으로 실시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단기간의 실험처치로 효과를 검증한 것이므로 장기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후속 연구에서는 사례 연구를 통한 심층적인 분석과 함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다양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tes

This article is based on a part of the first author's master's thesis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6).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1
Figure 1
Stage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kjcs-39-6-27f1.jpg
Table 1
Contents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Sessions Life theme of the Nuri Name of activity Subject of expression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1 Animals, plants and nature Wonderful parade of animals Movement of the baby lion and animals • The baby lion goes to meet the animals in the forest for a nice march. The procession of baby lions and animals become longer. (continued)
2 A girl and a firefly who become friends Movement of the firefly • A firefly transforms a girl named Ruri into a firefly. The firefly and Ruri start their journey in the forest. (continued)
3 Animals and plants living in the forest Movement of animals and plants in the forest • I go to the stream to hang out with my friends, but no one is there. Then, I hear the sounds of a bird and go deeper into the forest to find it. (continued)
4 Let’s be seeds Process of growing seeds • Seeds fall through the farmer’s colander. Then, the mouse approaches the seeds and rolls them to help them reach the ground. (continued)
5 Wind-up tournament Movements of trees swaying in the wind • A “wind-up tournament” is held to find the most powerful tree. The wind starts to blow, and a variety of trees join the tournament. (continued)
6 Various natural environment Movement in natural environments (desert, jungle, etc.) • I asked a robot that can take me anywhere to bring me to the North Pole. Suddenly, the robot and I arrive at the North Pole. (continued)
7 Health and safety Let’s get ready for the ball Movement of laundry in the washing machine • Only pretty and clean clothes are invited to the ball, but the clothes are not clean enough. They are so sad because they cannot make it. Suddenly, a detergent wizard appears. (continued)
8 Happy bathing Process of taking a bath • I hate taking a bath. I do not wash every day so I become dirty. I have become so dirty that mom and dad cannot recognize me. I am determined to take a bath. (continued)
9 Cleaning Process of cleaning a room • The room is very dirty. He wants to show off his toys to his friends, but he could not find the truck toys he wanted to show. He and his friends decide to clean the room together. (continued)
10 Sweet popcorn Process of corn becoming popcorn • I am Corn. I want to change myself into something wonderful. A girl named Sarang and her mother decide to make popcorn and eat with friends. (continued)
11 Dancing noodle Process of cooking noodles • There is an uncle who cooks delicious noodles in our neighborhood, singing songs every day. One morning, a little boy opens the store’s door and orders two bowls of noodles. The man starts to cook. (continued)
12 Summer Travel of raindrop Movement of raindrops • Three raindrops in the clouds want to go down to the ground as soon as possible and do exciting things. The raindrops become increasingly heavy and fall to the ground. (continued)
13 Under the sea Movement of creatures in the ocean • There are many friends living in the ocean. Suddenly, a shark appears. The friends gather their strength to defeat the shark. (continued)
14 Shadow Movement of shadows • Small shadows begin to get ready to meet a girl named Bobae when the sun rises slightly on the hill. Bobae and her shadow spend the day together. (continued)
15 Living tool Robot village Movement of various kinds of robots • Hoon loses his robotic puppy named Kong while he is looking around the robot village. The sad Hoon finds Kong with Kai, a guidance robot who knows the roads of the robot town well. Hoon meets various robots. (continued)
16 Dancing dolls Various movements of the toys • The toy shop closes at eight o’clock every day. At eight o’clock, the toy shop closes and a fun party of toy starts. (continued)
17 Transport -ation Riding a bike Movement when riding a bicycle in a variety of ways and situations • Dad bought a green bicycle as a birthday present. I decided to give it a nice name, Singsing. I am finally going to start my first biking trip with my bicycle. (continued)
18 I want to be an airplane Movement of airplane • Hus is a small but brave and adventurous little airplane. Hus wants to be the best racing champion in the world and will participate in a round-the-world flight competition. (continued)
Table 2
Example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Activity name I traveled like a raindrop
Objective − Learn the feature of summer weather.
− Participate pleasantly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one’s thoughts and feelings.
− Express the movement of raindrops creatively with one’s body.

Activity method Contents

Introduction ⊙ Being interested in the story
• Imagine the contents of the story after reading part of the storytelling materials.
− What is the story about?
⊙ Recalling own experience
• Talk about experiences related to the story.
− Have you ever seen rain?
− How do you feel when it rains?
⊙ Looking into activities
Be the raindrop and travel
⊙ Storytelling activity
• Show the story of “the trip of a raindrop” using the storytelling material.
Three raindrops live above the sky in the clouds. These three friends wanted to go down as soon as possible.
Raindrop 1: When can we go down to the ground?
Raindrop 2: If I go down, I want to do something fun and happy.
Raindrop 3: When our bodies get heavier and go down to the ground, are we separated forever?
Then, the three raindrops laughed and laughed again.
Raindrop 1: Of course not. The sun will shine upon us when we are having fun in the ground. Then, our bodies become vapor and so light, and then we can meet in the sky again.
The three friends held hands and their bodies started getting heavier.
Raindrops 1, 2, 3: Our bodies become heavy as we hold our hands. Now it seems we are going to fall soon. Oh!
− How did the three raindrops fall to the ground?
• Think about the contents of the story and interact with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tory.
− What will happen to three raindrops?
Development ⊙ Learning movement
• Continue storytelling and use one’s body to learn movement.
− Let’s be raindrops.
− ○○ told us that raindrops fell on our kindergarten flower field.
Shall I move like a raindrop on a flower field?
⊙ Expressing creatively
• Think about the contents of the storytelling story and express the movement of the subject creatively.
− Think about the contents of the story and express various aspects of raindrops.
− Raindrops moving slowly to the fountain in front of the kindergarten.
− The raindrops on the roads formed a small puddle. Then, a kindergarten school bus passed it. The raindrop splash onto the face of the driver and his shoes.
• Appreciate friends’ expressions and talk about it.
Conclusion ⊙ Evaluating the activity
• Talk about feelings after th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 What was interesting and what was not?
Table 3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hysical Self-concept
Variables Group Pre
Post
Adjusted score
M SD M SD M SE
Total E 36.17 5.73 47.44 4.62 47.10 .66
C 34.94 3.13 40.78 2.71 41.12 .66
Appearance E 9.94 2.36 11.28 2.70 11.00 .28
C 9.33 1.33 10.39 1.20 10.67 .28
Exercise competence E 7.00 2.33 12.44 2.36 12.73 .41
C 8.06 1.30 10.17 1.38 9.88 .41
Stamina E 8.83 2.48 11.72 2.16 11.25 .30
C 7.39 1.82 8.56 1.54 9.03 .30
Health E 10.39 3.26 12.00 2.77 11.93 .29
C 10.17 1.10 11.67 0.77 11.74 .29

Note. N = 36. E = experimental group; C = comparative group.

Table 4
ANCOVA Results of Physical Self-concept
Variables Source SS df MS F
Total ANCOVA (pre) 234.49 1 234.49 30.58***
Group 315.12 1 315.12 41.09***
Error 253.06 33 7.67
Total 887.56 35
Appearance ANCOVA (pre) 102.09 1 102.09 73.58***
Group 0.99 1 0.99 0.72
Error 45.80 33 1.39
Total 155.00 35
Exercise competence ANCOVA (pre) 34.75 1 34.75 12.44**
Group 67.20 1 67.20 24.06***
Error 92.19 33 2.79
Total 173.64 35
Stamina ANCOVA (pre) 68.94 1 79.59 44.50***
Group 39.75 1 39.75 25.66***
Error 51.12 33 1.55
Total 210.31 35
Health ANCOVA (pre) 90.77 1 90.77 60.85***
Group 0.30 1 0.30 0.20
Error 49.23 33 1.50
Total 141.00 35

** p < .01.

*** p < .001.

Table 5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Variables Group Pre
Post
Adjusted score
M SD M SD M SE
Total E 31.28 4.05 49.67 5.39 49.67 .86
C 31.28 4.78 39.83 5.65 39.83 .86
Diversity E 5.78 1.21 10.17 1.58 10.01 .39
C 5.33 1.24 7.39 2.03 7.54 .39
Direction E 4.89 1.23 9.00 1.50 8.87 0.30
C 4.56 0.92 7.00 1.50 7.13 0.30
Timeliness E 5.95 0.64 9.33 1.09 9.36 0.26
C 6.06 1.47 7.56 1.38 7.53 0.26
Flow E 6.22 1.26 9.83 1.43 9.93 .30
C 6.61 1.09 7.78 1.35 7.68 .30
Expression E 8.56 1.62 11.33 1.65 11.38 .25
C 8.72 1.45 10.11 0.83 10.07 .25

Note. N = 36. E = experimental group; C = comparative group.

Table 6
ANCOVA Results of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Variables Source SS df MS F
Total ANCOVA (pre) 599.59 1 599.59 45.29***
Group 870.25 1 870.25 65.73***
Error 436.92 33 13.24
Total 1906.75 35
Diversity ANCOVA (pre) 24.43 1 24.43 9.12**
Group 53.09 1 53.09 19.83***
Error 88.35 33 2.68
Total 182.22 35
Direction ANCOVA (pre) 23.89 1 23.89 15.13***
Group 26.68 1 26.68 16.90***
Error 52.11 33 1.58
Total 112.00 35
Timeliness ANCOVA (pre) 11.82 1 11.82 9.60**
Group 30.24 1 30.24 24.57***
Error 40.62 33 1.23
Total 80.89 35
Flow ANCOVA (pre) 12.27 1 12.17 7.59**
Group 44.43 1 44.43 27.48***
Error 53.34 33 1.62
Total 103.64 35
Expression ANCOVA (pre) 22.27 1 22.27 20.70***
Group 15.40 1 15.40 14.31**
Error 35.51 33 1.08
Total 71.22 35

Note. ANCOVA Results of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 p < .01.

*** p < .001.

References

Egan, K. (1986). Teaching as storytell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Ellis, G., Brewster, J. (1991). The storytelling handbook: A guide for primary teachers of english. London: Penguin Books.

Koki, S. (1998). Storytelling: The heart and soul of education. (Report No. ED426398). Retrieved from ERIC Institute of Education Services website: https://eric.ed.gov/?id=ED426398.

Laban, R. V. (1963). Modern educational dance(2nd ed.), London: Macdonald & Evans.

Marsh, H. W., & Richard, G. E. (1994).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a multitraitmultimethod analysis of relations to existing instruments.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6(3), 270-305 doi:10.1123/jsep.16.3.270.
crossref
Mello, R. (2001). The power of storytelling: How oral narrative influences children’s relationships in classrooms. (Report No. ED474764). Retrieved from ERIC Institute of Education Services website: https://eric.ed.gov/?id=ED474764.

Miller, C. H. (2012). Digital storytelling: A creator’s guide to interactive entertainment. New York: Routledge; doi:10.4324/9780080504520.

Pica, R. (2013). Experiences in movement and music: Birth to age eight. 5th ed.. Boston: Cengage Learning.

Slater, W. (1993). Dance and movement in the primary school: A cross-curricular approach to lesson planning. London: Northcote House Publishers Ltd.

Ahn, J.-Y. (2010). The effects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and self-concept.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30335.

Bae, H.-S. (1991).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hild-centered movement education program for body expression ability in kindergarten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1(1), 41-58.

Chang, Y.-H. (2002). The effect of movement activities on preschoolers’ physical self-concept and prosocial-behavior.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648628.

Chi, S.-A., & Oh, S.-G. (2012).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6(1), 5-30.

Cho, H.-S. (2011).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using a tool on young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 and spatial concept.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380631.

Choi, H.-Y. (2008).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centered by basic physical fitness on young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334410.

Choi, J., & Park, H. (2017).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story reconstruction activities using storytelling on communication skill and social competency of 5-year-old-childre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6), 179-204 doi:10.22251/jlcci.2017.17.6.179.
crossref
Choi, M.-S., & Ahn, J.-Y. (2014). The effects of singing activities with storytelling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musical attitude.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5(2), 121-139.

Choi, Y. J., Kim, S. R. (2005). Seutoritellinggwa naereotibeu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Seoul: Geulnurim.

Hwang, M.-H. (2015). The influence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y using multimedia on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and physical self concept of young childre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737036.

Hwang, S. G. (2001). The construction and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 program: focus on preschooler’s perceptual-motor ability and physical self concept.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546834.

Jang, W.-S., & Choi, M.-S. (2011). The effects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children’s song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3(1), 365-382.

Kang, H.-J. (2006). A study of physical expressive activity with storytelling program model.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703821.

Kang, M., & Kim, S. (2012). A study of learner perception of educational utility of narrative storytell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8(2), 83-106.

Kang, M.-S. (2013).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lecture early literature education’ class: Focus on the storytelling.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4(3), 113-136.

Kim, B.-J.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2(2), 69-90.

Kim, E. (1995). Effects of the integrated approach on children’s fundamental and creative expressive movement.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2505601.

Kim, E. (2007). Early childhood movement expressive ability measurement: Review and sugges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1(3), 247-264.

Kim, H.-Y., Kim, Y.-H., & Kim, K.-S. (2012).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body esteem, peer 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2(4), 73-91 doi:10.18023/kjece.2012.32.4.004.
crossref
Kim, K.-P., & Kim, M.-J. (2014). The effects of mathematics through storytelling.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5(2), 141-159.

Kim, M. J. (2008). The effects of small group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creativity physical expression abilit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315147.

Kim, M. J., & Cho, H. S. (2016). The effects of science-music drama program based on storytelling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musical expression abiliti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6(1), 183-212 doi:10.18023/kjece.2016.36.1.008.
crossref
Lee, H.-C. (2014).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humanistic value of dance education through expressing topics by storytelling activities. Philosophy of Movement: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22(2), 213-235.

Lee, H.-J. (2004). A study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narrative curriculum.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518907.

Lee, J.-A., & Kim, Y.-O. (2017).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storytelling.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7(1), 77-103 doi:10.18023/kjece.2017.37.1.004.
crossref
Lee, M. H., Kim, N. H., & Kang, H. M. (2016). The effects of storytelling art activities on children’s creativity. Journal of Life-span Studies, 6(1), 39-55.

Lee, S.-L., Kim, M.-K., & Han, M.-Y. (2005). The activated method of movement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Kore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11(2), 7-23.

Lim, H.-L., & Park, C.-O. (2015).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with storytellings on 3-year-old children’s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and emotional recogni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9(3), 343-36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3). Honhabyeollyeong (boksik) hakgeup g yosayong jidoseo [혼합연령(복식) 학급 교사용 지도서]. Seoul: Author.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3-5se yeollyeongbyeol nurigwajeong: gyosayong jichimseo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Seoul: Author.

Oh, S.-R., Seo, H.-A., & Ha, S.-H. (2013). The effects of physical effort using props on 3-year-old children’s ability in relation to their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nd development of a physical self-concep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1), 53-70 doi:10.5723/kjcs.2013.34.1.53.
crossref pdf
Park, Y. J. (2014). The effect of physical expressing activity using storytelling on children’s playfulnes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03772.

Ryu, S. E. (2015). The creation of dance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storytelling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770282.

Yun, E. Y. (2005).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the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y program-focusing on the gross development and physical self-concept-.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810332.

Editorial Office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S1433-1, Myongji University,
34 Geobukgol-ro, Seodaemun-gu, Seoul, 03674, Republic of Korea
TEL: +82-10-7704-8342   E-mail: gochildren@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