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회지: 국제화와 질적 개선을 위한 움직임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Moving Towards Internationalization and Improvement in Quality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Child Stud. 2016;37(1):3-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6 February 29
doi : https://doi.org/10.5723/kjcs.2016.37.1.3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송하나orcid_icon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Corresponding Author: Hana Song, Editor-in-Chief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5-2, Sungkyunkwan-Ro, Jongno-Gu, Seoul 110-745, Korea E-mail: jni4ever@skku.edu

전 세계적 추세인 글로벌화는 국내 학계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아동학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며 국제 사회와 소통하기 위한 많은 변화들이 자의 반 타의 반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아동학회지는 태어난 한 인간이 영아기에서 청소년기에 이르는 동안 나타나는 발달과 심리적 변화, 교육 및 보육, 상담과 중재, 부모와 가족, 정책, 건강 등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다루고 있다. 최근에는 아동학과 다른 ICT, 공학, 의학 분야와의 융합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동학회지가 자연과학 학술지로 분류된 것은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은 여기서 학문적 성격을 논하려는 것이 아니다.

지난 몇 달간 편집이사로써 자연과학 분야의 학술지 평가를 주관하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하 ‘과총’)의 세미나에 참석하였다. 또한 변화하는 평가 기준에 대응하기 위한 크고 작은 모임과 토론회에서 과학기술분야의 학자들과 전문 편집인을 만날 기회가 있었다. 그 이전까지 나 자신도 학문 분야가 너무 달라서 이 사람들과 우리가 크게 공통점이 없다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국제화 및 디지털화를 위한 조언은 물론 아동학회지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들을 수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과총에서 평가받는 학술지이기 때문에 유사한 분야의 다른 학술지들이 고민하지 않아도 될 문제를 겪고 있긴 하지만, 이러한 도전이 아동학회지를 질적으로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자극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동학회지에 대한 여러 가지 평가들 중에서 매우 긍정적이었던 것은 타 분야 학자들로부터 상당히 질적으로 우수하며 국제적 기준으로 괜찮은 연구들이라는 평을 들었다는 점이다. 과학자들의 시각으로 연구의 의의까지 평가하기는 어려웠겠지만 연구 방법의 타당성과 체계적인 논문 구성이 좋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국제화에 대한 제안에서는 AMA 방식이라던가 영문학술지 전면 전환과 같이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고, 우리 역시 최선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진했던 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영문 학술지 전환에 대해서는 단지 ‘영어로 논문을 쓴다’ 혹은 ‘쓰지 않는다’ 의 문제만이 아닐 것이다. 아동학회지를 구독하는 독자들의 편리성, 국내 학자들 간의 학술적 교류, 대중과의 소통, 한국 사회에 대한 기여도와 정책적 활용도 등 세밀한 부분까지 고려하여 필요성과 시기를 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 상위 수준의 학술지들과 비교하여 취약점으로 지적 받은 것들은 충분히 공감되는 것들이었고, 그것들 중 몇 가지는 우리가 지금도 당장 개선할 수 있는 것들이어서 좀 아쉬운 생각이 들었다. 여기서 그 중 두 가지만 함께 나누고자 한다. 이 두 가지는 꼭 국제화를 위해서가 아니라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것들이다.

우선, 첫째, 참고 문헌의 최신성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전문가들에게 아쉬운 평가를 받았다. 선행 연구의 탐색을 위해서는 아마 10년 전 자료가 아니라 수 십 년이 지난 60년대에 발행된 원저를 읽거나 도구를 인용할 필요도 있다. 하지만 학술지 논문은 연구자의 모든 탐색 과정을 다 추적하는 기록지가 아니다. 연구가 연구를 낳고 또 새로운 연구가 이전 연구를 인용해 오는 과정을 다 기술할 필요는 없다. 그 보다는 지금 현재 어떠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는지에 주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가장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연구하면서 몇 십 년 전에 이루어진 연구들을 위주로 근거로 든다면, 연구자가 주장하는 의의가 타당성을 많이 잃어버릴 것이다. 도구 역시 타당성을 고려한다면 가장 최신 개정판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둘째로, 아동학회지 참고문헌에 학위 논문의 인용 비율이 높다는 점이 언급되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에서도 찬반 논란이 많다. 국내 대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석사 학위 논문의 경우 최소 세 명, 박사 학위 논문은 다섯 명의 위원들이 심사를 하며, 학위 논문 중에 상당이 우수한 것들도 있다. 하지만 인간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연구에 IRB 승인을 요구하는 미국에서도, 학위 논문이 연구 과정에서의 윤리 규정 준수나 표절과 같은 문제에서 자유로운지 종종 의문이 제기되곤 한다. 심사의 공정성과 엄격성은 우리 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항상 이슈가 되는 부분이다. 이에 반해, 우리에게 잘 알려진 저명 학술지들은 DOI/CrossRef/CrossMark 등을 통해 연구의 독자성, 인용의 정확성, 중복 게재, 표절 문제 등 민감한 부분을 공개적으로 검증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과학자들이 이러한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은 학위 논문보다 학술지 논문을 더 신뢰하는 것이다. 질적으로 우수하다면, 학위 논문의 인용은 물론 가능하다. 그러나 좋은 전문 학술지에서 한번 더 검증을 거친 논문이 있다면 학위 논문보다 이것을 먼저 인용할 것을 추천하고 싶다.

나 자신 또한 학생들의 논문을 지도할 때 이러한 점들을 더 꼼꼼하게 살피지 못한 적이 많다. 그 때문에 위의 두 가지 이슈에 대해 새롭게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전공이나 분야에 관계 없이 ‘원칙에 충실한 것’은 세계적으로 통한다고 생각한다. 연구의 독창성, 타당성, 신뢰성, 윤리 준수, 표절 등의 문제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IRB 승인과 같은 요구들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좋은 연구를 위한 윤리적 기준을 확립하고 교육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2016년 새로 개정된 첫 호를 발간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수고와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아동학회지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우수한 학술지가 되는 일이 단시간에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전에 아동학회지를 맡아 수고하신 많은 편집이사님들과 운영위원님들의 노고가 있었기에 오늘이 있었던 것처럼, 앞으로 이 학회지를 맡게 될 분들이 꾸준히 이 일을 이루어나갈 것으로 믿으며 그 발판을 조금이나마 마련하고자 하였다.

아동학회지 개정을 위해 어려운 일들을 해결하며 여건을 마련해주신 회장님과 다양한 경험으로 적극적인 추진력을 보여주신 부회장님들, 그리고 한 마음으로 지지해주신 고문 선생님들과 편집위원님들께 감사를 드린다. 이번 호에 특별 논문을 기고해 준 허 선 교수는 대한 의학학술지 편집인협의회와 한국과학학술지 편집인협의회의 운영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Council of Asian Science Editors의 교육연구 위원장으로 활약하고 있다. 수 차례 검토를 반복하면서 아동학회지에 대한 진지한 평가와 국제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해 준 것을 진심으로 고맙게 생각한다. 또한 전문 편집인으로서 학술지의 표지 디자인, 내지 레이아웃, 편집스타일의 개선에 조언을 아끼지 않은 조혜민 대표와 날마다 밤 늦게까지 함께 남아 개정 작업을 진행해 준 간사들에게 특히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Worldwide trend of globalization is effecting numerous changes in domestic academia. This trend is not an exception in the field of child and adolescent studies, and many voluntary and involuntary changes have been made to jo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KJCS) has published papers on various topics including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changes, education and care, counseling and intervention, parents and family, policy, and health. Recently, fusion research between child studies, ICT, and medical science is increasing, but categorizing the KJCS into one of the science journals seems inappropriate, just like wearing a cloth that does not fit. However, at this point I will not discuss the identity or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

Over the past few months, I attended a seminar hosted by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KOFST), which is responsible for evaluation of science journals. I had the opportunity to meet professional editors and a manuscript editor in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meetings and discussions. These people are from different disciplines and I was of the view that we do not have common academic perspectives. However, I heard objective assessments of the KJCS and recommendations for internationalization and digitization during these meetings. Since this journal is a constituent of the KOFST, we may face problems that other journals have not experienced. However, I believe that ironically it is because of these challenges that we could enhance the quality of this journal.

I was proud to hear from scholars from other disciplines that this journal is good as compared to international standards. It may be difficult for them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topics, but we obtained a fair evaluation of the objectivity of research methods and systematic construct of an article. However, it may not be necessary for us to apply the AMA citation style and English only policy for the KJCS. We also acknowledge that our journal has a few weaknesses with regard to internationalization. The language used in this journal, whether English or Korean, is not of importance in our vision of internationalization. More importantly, we must have times to consider the convenience of readers, academic exchanges between domestic scholar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social contribution, and feasibility of policy.

Nevertheless, compared to top-level international journals, we may need to contemplate on some of their suggestions that many of us may agree to. At the same time, we may be able to improve many weaknesses with less effort. I would like to share only two of these that we can fully consider at this point.

First, we received unsatisfactory ratings for citation of latest literature from almost all the experts. Probably, we could have quoted articles older than 10 years or even published in the 1960s for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However, journal article is not a sheet that tracks the search process of all literature. It is not necessary to describe the whole process of citing previous research that also cites prior research. Rather, it is more important to make a note of new findings in latest articles. Studying a phenomenon that is taking place in contemporary society based on research findings made a few decades ago does not sound valid and reliable. If we consider the ecological validity of a scale, it would be appropriate to use the latest version of the scale.

Second, it was pointed out that references in the journal have an overall high proportion of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There is controversy in other countries on this issue. In particular, science journals tend to avoid quoting theses. In general, at least three reviewers for masters and five reviewers for doctoral theses are required within the context of education in Korea, and some theses are excellent. Nonetheless, in the US wher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pproval is required for all researches involving human subjects, a query regarding research ethics or plagiarism is often raised. Well-known academic journals are being publicly verified on novelty of the research project, accuracy of citation, duplicate publication, and plagiarism through DOI/CrossRef/CrossMark. Thus, scholars barely trust theses and dissertations that are still going through these public checks. Citing a thesis is certainly possible if the quality is superior. However, I would likely to recommend foremost consideration of more quality proven literature published in top academic journals.

Moreover, I pointed out certain shortcomings related to these two issues generally and less meticulously while teaching students or reviewing manuscripts. For this reason, I completely agree with the opinions of scholars from other disciplines. I believe that being “Faithful to the Basic Principles” is always true across the world, regardless of the major. For sure, it is essential to properly validate the research process, and respect research ethics. Requirements that need to be met for obtaining IRB approval for studies involving human subjects have increased. We need to make additional efforts to establish ethical standards for better research.

Many people have invested their time and effort for this issue of the KJCS, and several changes have been introduced beginning this issue. International recognition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the KJCS may not be accomplished in a short time period. The KJCS has been developed by efforts of many editors-in-chief, editorial committee, and staffs as it stands today; and I believe that people will continue to take it forward in the future. I would like to thank the president and vice presidents for having supported the journal revision wholly, the advisory committee, and editorial committee. Professor Huh, who is the author of an invited paper in this issue, has served as the Committee Chair of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and Korean Council of Science Editors, and Chair of Education Training Committee of the Council of Asian Science Editors. I am really grateful for his sincere evaluation of the journal, and suggestions for internationalization. In addition, I thank Hyemin Cho who was willing to assist in journal design, layout, and editing styles, and dedicated editorial assistants who have worked from morning until night for this issue.

Hana Song, Editor-in-Chief of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editorial was reported.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