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질풍노도 와 청소년기 정신건강
송하나
Korean J Child Stud.2017;38(2):1-3.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1
|
|
|
5 |
청소년의 자율성 및 관계성 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개인주의-집합주의 가치관에 따른 차이
홍승빈, 박성연
Korean J Child Stud.2017;38(2):5-16.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5
|
|
17 |
국내 아동 실행기능 연구의 최근 동향
이주미
Korean J Child Stud.2017;38(2):17-35.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17
|
|
37 |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응집성과 유연성 및 온정적 양육행동 간의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홍예지, 이순형
Korean J Child Stud.2017;38(2):37-5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37
|
|
51 |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정서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임지영, 이윤정
Korean J Child Stud.2017;38(2):51-66.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51
|
|
67 |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 유아의 실행기능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유란희, 김선희
Korean J Child Stud.2017;38(2):67-79.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67
|
|
81 |
아동의 종단적 학대 경험과 청소년기 자살생각 간 관계
김세원, 김덕성
Korean J Child Stud.2017;38(2):81-91.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81
|
|
93 |
초기 청소년의 성별 및 대인관계 요인이 휴대전화 용도별 이용빈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미정
Korean J Child Stud.2017;38(2):93-105.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93
|
|
107 |
출처 회상 조건이 출처 감찰과 억제적 통제, 작업 기억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승진
Korean J Child Stud.2017;38(2):107-117.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107
|
|
119 |
3세의 기질 특성과 어머니 반응성이 5세의 문제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진나
Korean J Child Stud.2017;38(2):119-132.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119
|
|
133 |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김민주, 도현심
Korean J Child Stud.2017;38(2):133-14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133
|
|
149 |
부-자녀 및 모-자녀 의사소통과 친구관계의 질이 중 · 고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윤기봉, 도현심
Korean J Child Stud.2017;38(2):149-16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149
|
|
165 |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청소년-또래 비행의 유형과 특성
박지수, 김하영, 유진경, 한윤선
Korean J Child Stud.2017;38(2):165-176.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165
|
|
177 |
사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기지각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수지, 조경숙
Korean J Child Stud.2017;38(2):177-19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177
|
|
191 |
아동의 미디어 이용시간, 문제행동,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안수빈, 강보람, 이강이
Korean J Child Stud.2017;38(2):191-20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191
|
|
205 |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정서안정성, 대인관계 스트레스,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정유정, 김진욱
Korean J Child Stud.2017;38(2):205-21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205
|
|
219 |
어머니의 놀이신념, 유아의 성별과 가정놀이빈도가 유아의 종류별 놀이선호에 미치는 영향
한준희, 최나야
Korean J Child Stud.2017;38(2):219-232.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2.2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