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Child Stud > Volume 38(3); 2017 > Article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고찰: 1984–2016년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iew scales and tests developed for or validated with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at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from 1984 to 2016.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format of the selected instruments, as well as to evaluate their psychometric properties.

Methods

Using several databases and journal archives from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searches were implemented using the key terms: instrumen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struments from 76 selected studies were reviewed based on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ssessment areas, contents, respondents, responding types, and psychometric properties.

Results and Conclusion

First, a majority of the reviewed instruments were developed for infants and children, whereas only one was developed for adolescents. With regard to their specific measurement domains, many instruments focused on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mong children. Second, with a few exceptions, the selected studies provided appropriate evidence for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including its internal consistency, inter-rater reliability, and spilt-half reliability. Many studies also reported on the criterion-related or construct validity of the instrument to establish its validity. Future studies need to develop instruments across diverse developmental areas that collect information from multiple sources and raters. In addition, more evidence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viewed instruments should be provided to demonstrate their psychometric qualities.

서론

지난 30여 년 동안 아동학 분야에서 양적 연구방법을 적용해 온 경험적 연구들은 여러 측면에서 발전해왔다. 다양한 패널 데이터를 통한 자료의 축적을 비롯하여 HLM이나 MPLUS와 같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통계 프로그램의 활용과 같은 기술적 진전 덕분에 종단자료 분석을 위한 잠재성장 모형분석, 분석 단위(unit of analysis)를 고려한 다층모형분석 등과 같은 고급 통계분석기법을 아동학 연구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 분석방법의 급진적 진전에 비해 양질의 자료 수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정도구의 양호도나 측정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으며, 그 결과로 심리측정 영역에서 강조되어온 주요 이슈들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측정도구가 부적절하게 연구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왔다. 검사문항이나 검사도구의 하위구조에 대한 이론적 . 논리적 적합성의 부족, 불충분한 내용 타당도 검토, 내적 일관성 확인이나 검사–재검사 신뢰도 등을 통한 신뢰도에 대한 증거 누락, 구성 타당도나 준거관련 타당도 등의 타당도 검토 자료 부족 등의 문제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비단 국내뿐 아니라 국외의 측정도구 고찰에 관한 연구(Ahern, Kiehl, Lou Sole, & Byers, 2006; Chan, Shum, Toulopoulou, & Chen, 2008; Mathisen & Einarsen, 2004; Vignes, Coley, Grandjean, Godeau, & Arnaud, 2008)에서도 공통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내용이다.
특히, 국내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국외에서 개발된 도구들을 단순히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증거 없이 사용한 경우도 드물지 않아(J. Kim & Kim, 2007) 측정도구의 양호도 검증에 대한 추가 자료나 문화적 특수성에 대한 진지한 고찰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아동학에서 다루는 심리적 특성들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가설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연구자가 이 구성개념을 어떻게 조작적으로 정의하느냐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구성 개념을 기초로, 어떻게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발되지 않은 측정도구는 연구결과의 적용이나 해석에 있어서도 이론적인 근거를 명확히 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Cha et al., 2010). 더욱이 비교문화 연구나 타당화 연구들(Lim & Bae, 2015; Putnam, Garstein, & Rothbart, 2006; Sukigara, Nakagawa, & Mizuno, 2015)에 따르면, 문항 내용이 받아들여지는 의미 및 특정 구인의 하위영역들이 문화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국외 측정도구의 타당화 작업에 있어 문항의 번역뿐만 아니라 측정도구의 하위 구조 파악에 있어서도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신뢰도와 타당도는 측정도구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반영하는 지표로서, 신뢰도는 측정도구의 정확성에 대한 평정의 기준(Kerlinger, 1973)으로, 타당도는 검사나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준으로 활용된다.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도구는 연구물 생성에 있어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영유아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실천현장에서의 평가나 개입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National Associa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ists in State Department Education, 2003). 일례로, Chan 등(2008)의 실행기능 척도에 대한 고찰 연구에 따르면 실행기능은 상당히 포괄적인 개념으로 연구자가 그것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가 달라지고, 그리고 측정을 통해 이러한 실행기능이 부족하거나 손상되었다고 판단되는 아동에게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가 달라지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민감하며, 세부적 측정이 가능한 실행기능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하였다.
최근에는 측정도구의 개발과정이나 타당화 과정에 있어 좀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즉, 충분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개념 구성, 국외 척도의 경우 번역 및 역번역(back translation) 과정, 타당도 분석 과정 등에서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특히, 양적 연구에서 심리측정적 특성이 우수한 검사 도구는 체계적 혹은 비체계적 오류를 감소시켜 측정의 질을 담보함으로써(Levin, 1999) 보다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아동학 연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측정도구들의 내용과 심리측정적 특성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여 년간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검사도구 개발 연구 혹은 국외 검사도구의 타당화 연구을 중심으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과 해당 측정도구들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대상은 아동학회지에 처음으로 측정도구 개발 논문이 나온 1984년부터 2016년까지아동학회지에 게재되었던 논문들 중에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거나 국외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화 작업을 한 측정도구 관련 연구 76편에 국한한다. 일반적으로 측정도구란 사전적으로 인간의 심리적 또는 사회적 능력이나 특징을 측정하기 위하여 동원되는 모든 형태의 수단과 방법이라고 정의된다(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5). 이에 본 연구에서 검토된 측정도구 관련 연구는 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평가하는 측정도구를 비롯하여 아동의 주요 환경인 가족이나 교육·보육기관에 관련된 특징을 부모나 교사의 태도나 평가 등을 통해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에서 개발 혹은 타당화된 것으로 언급된 측정도구들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국내 아동학 연구자들이 주로 관심을 기울여 개발해왔던 혹은 타당화 작업을 하였던 검사도구의 연구 분야, 연구대상 연령, 그리고 형식(평가자, 평가방식, 반응양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가 현재까지 어느 분야의 발달 영역을 평가하기 위해, 어느 연령의 집단을 대상으로, 그리고 어떠한 평정 방법이나 반응 양식을 주로 활용하였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많이 개발이 되어 온 연구 분야나 연구대상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측정도구 개발 연구나 타당화 연구를 하려는 연구자들에게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와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영역이나 연구대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되었거나 타당화된 측정도구들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포함하는 측정의 양호도를 중심으로 연구들을 평가하고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작업에 있어 과거 관련 연구에서 고려되었던 심리측정적 특성의 기준 뿐만 아니라 최근 연구에서 적용하고 있는 심리측정적 특성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향후 측정도구 개발 혹은 타당화 연구 수행 시 고려해야 할 심리측정적 특성의 기준에 대한 정보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고찰을 통해 양질의 측정도구의 중요성과 체계적인 타당화 과정 등에 대한 아동학 연구자들의 관심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측정대상 및 영역, 그리고 형식(평가자, 평가방식, 반응양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양호도는 어떠한가?

연구방법

분석대상 연구 검색방법 및 기준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아동학회지(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KJCS])’ 첫 호가 개간된 1980년(1권 1호)부터 2016년(37권 6호)까지 27년간 게재된 연구 중 논문 전문의 온라인 검색이 가능한 측정도구 관련 연구 76편이었다. 측정도구 관련 연구란 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비롯하여 아동의 주요 환경인 가족이나 교육 · 보육기관에 관련된 측정도구를 개발하거나 타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를 의미한다.
분석 대상 연구를 선정하기 위한 첫 단계로 먼저 데이터베이스 KISS와 RISS를 사용하여 측정에 관련된 검색 용어와 측정도구 적용 대상에 대한 검색 용어를 ‘AND’ 혹은 ‘OR’로 연결하여 연구를 검색하였다. 이 때 사용된 측정관련 용어는 ‘측정’, ‘척도’, ‘평가’, ‘타당화’ 등이었고, 대상관련 용어는 ‘영아’, ‘유아’, ‘아동’, ‘청소년’, ‘학생’, ‘가족’, ‘부모’, ‘교사’ 등이었다. 다음으로 1차 검색된 연구의 초록을 검토하여 특정 측정도구와 준거변인의 관계를 단순 분석하는 등 척도의 개발이나 타당화가 주요 목적이 아닌 연구를 제외하였다. 또한 동일한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가 개발 및 타당화 연구와 동일한 연구자에 의해 중복 게재된 유사 연구의 경우, 이를 하나의 연구로 간주하였다. 선정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주관적 판단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세 명의 연구자가 모두 연구목적에 부합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 이상의 선정기준에 근거하여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의 목록과 상세 내용은 Appendix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방법

선정된 연구는 측정 대상 및 영역, 응답자, 측정도구의 형식, 측정단위와 반응양식, 그리고 척도의 양호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 대상은 Table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아동, 가족구성원 및 가정환경, 교육/보육기관 구성원 및 기관 환경, 기타 대상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으며, 측정 영역은 측정 대상에 따라 별도의 구분 기준을 작성하였다. 예를 들어, 영유아/아동/청소년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한 연구의 경우 척도의 하위 요인을 검토하여 발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와 기타 영역을 측정하는 척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발달적 특성을 측정하는 척도의 경우 영역의 구분이 가능한 한도 내에서 인지 · 언어, 사회 · 정서, 신체, 기본생활습관, 전반적 발달, 기타 발달특성으로 범주화하였다. 다음으로 응답자는 연령에 관계없이 아동 자신, 부모, 교육기관 전문가, 훈련받은 관찰자나 검사자로 분류하였다. 이상의 분류 중 어떤 범주에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타 응답자로 분류하였다. 측정도구의 평가방식과 관련해서는 검사법, 질문지법, 관찰법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척도의 반응양식을 예/아니오의 체크리스트, Likert식, 반응 수, 빈도 수, 기타 범주로 구분하였다.
측정의 양호도는 신뢰도와 타당도 자료를 기초로 분석하였다. 신뢰도는 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 재검사 신뢰도, 동형 검사신뢰도, 채점자간 신뢰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신뢰도의 경우, 무엇에 관심을 두느냐에 따라 크게 측정도구의 안정성을 추정하는 검사재검사 신뢰도, 측정도구의 모든 문항이 같은 특성을 측정하는지를 추정하는 반분신뢰도와 내적합치도, 두 측정도구 간의 유사성을 추정하는 동형검사신뢰도로 구분하였다(Chung, 2012). 이외에도 둘 이상의 관찰자나 평정자가 아동의 특정 행동을 평정하는 것과 관련된 채점자간 신뢰도도 포함하여 살펴보았다. 타당도는 ‘검사내용에 기초한 근거’, ‘내적 구조에 기초한 근거’, ‘다른 변수에 기초한 근거’에 기초를 두고 내용타탕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타당도의 종류는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ER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와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NCME; 1985), AERA, APA와 NCME (1999), Chung (2012)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구인타당도(construct validity), 준거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측정 대상 및 영역, 평가자, 측정도구 형식, 측정의 양호도의 측면에서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측정도구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측정 대상 및 영역과 측정도구의 형식

측정 대상 및 영역

연구도구가 측정하는 내용 영역은 대상과 상호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 두 내용을 함께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 영역을 살펴보면(Table 2) 총 76편의 연구 중 아동을 측정 대상으로 한 측정도구에 관한 것이 49편으로 전체의 약 64.5%에 해당하여 아동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가족 관련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연구가 15편, 교육기관 관련 척도개발 연구가 9편, 기타 측정 대상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치료자, 아동·가족·환경에 대한 포괄적 평가를 위한 도구개발이 각 1편씩 총 3편이었다.
측정 내용 영역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아동 대상 측정도구를 연령대 별로 세분화해보면 영유아 대상이 29편, 초등학생 대상이 17편으로 이 두 범주가 아동 대상 도구개발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중고등학생 대상이 1편, 아동기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대상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 연구가 2편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측정도구가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다. 가족관련 측정도구의 경우에는 15개 연구 중 13개는 부모의 양육관련 특성이나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였으며, 이 중 아버지나 어머니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없이 개발된 도구가 6편, 어머니와 아버지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연구가 각각 5편과 2편으로 아버지 역할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그 외의 가족관련 측정도구는 2편 모두 가정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었다. 교육/보육기관과 관련하여서는 교사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5편으로 가장 많았고,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가 3편, 기관의 환경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 연구가 한 편이었다. 기타 측정 대상으로는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이용자, 놀이치료자, 교육자료 등이 있었다.
연령대의 구분을 고려하지 않고 측정 내용을 발달영역 별로 구분해보면, 사회정서영역이 기질, 애착, 친사회적 행동, 학교적응, 성발달, 문제행동, 또래놀이행동 등 비교적 다양한 측정 변인을 포함하고 있어 인지나 신체 영역에 비해 많은 수의 척도가 개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가족관련 평가 도구의 경우 주로 양육행동, 언어통제, 양육참여, 양육효능감 등 부모역할 수행과 관계가 있는 행동이나 태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들이었고, 그 외에 부부간 갈등, 가정환경자극,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이용자 만족도 척도가 개발되었다. 교육/보육기관에 관련된 척도개발은 아동의 발달과 직접 관련이 있는 교사요인(예: 문제행동지도전략, 효능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등)에 대한 것이 가장 많았고, 교육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나 환경특성 평가 도구의 개발은 적은 편이었다. 기타 영역에 포함된 측정도구로는 정신건강 위험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아동 개인, 가족, 환경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도록 개발되어 위에 제시한 어느 한 범주에 포함시킬 수 없는 통합적 측정도구와 부모-아동 간 수학적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등이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유아와 초등학생 대상 척도 모두 소근육운동기능이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같은 구체적인 영역의 평가부터 전반적 발달에 이르기까지 측정의 범위가 광범위하나 영유아 대상의 평가척도는 초등학생 대상의 도구(예: 게임중독, 수학불안 대처행동, 방과 후 보육생활만족도, 친구관계의 질 등)에 비해 측정영역이 덜 구체적인 편이었다(예: 전반적 발달, 기질, 문제행동, 발달장애 등). 한편, 단 한 편 뿐인 청소년대상의 측정도구 개발 연구는 성발달 평가에 관한 것으로써 이 시기 주요 발달과업을 반영하였다.

측정도구의 형식

측정도구의 형식은 해당 구인을 누가 평가하도록 되어 있는지, 그리고 평가방식과 반응양식은 어떠한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Table 4 참조). 먼저, 측정도구의 평정자(혹은 응답자)를 분석한 결과, 부모가 응답(22개), 아동이 직접 응답(21개), 교사 관찰 및 응답(18개), 검사자에 의한 응답(16개), 이 유사한 비율로 분포되어 있었다. 76개의 도구 중 72개의 도구는 단일 보고자에 의해 평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4개 도구(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유아용 반사회적 행동평가 척도, 한국 아버지의 양육참여 척도, 0–36개월 영아발달 선별검사)의 경우에는 두 명 이상의 대상이 동시에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Rhee & Lee, 1994)의 경우 교사, 원장, 훈련 받은 관찰자로 하여금 각각 평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국 아버지 양육참여 척도(H. H. Kim, 2005) 역시 청소년 자녀와 아버지가 모두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발달단계별로 살펴보면, 언어적 능력이 제한되어 자기보고방식의 응답이 어려운 영유아 대상의 척도의 경우 29개 척도 모두 부모, 교사, 또는 훈련받은 검사자가 평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비율은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기질이나 놀이행동은 주로 부모가 평가하도록 되어 있고, 전반적인 행동발달이나 또래관련 행동은 대체로 교사가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검사자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지적 능력에 대한 평가는 훈련받은 검사자나 임상가가 실시하도록 되어 있었다. 반면, 초등학생 이상 연령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척도는 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17개의 척도 대부분이 아동 자신의 응답을 기초로 평가하도록 개발된 것이었다. 예외적으로 학교적응 척도는 교사가, 언어영재 판별도구와 창의성 검사 중 하나는 훈련받은 검사자가 아동의 특성을 평가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족이나 교육/보육기관에 관련된 대부분의 측정도구 역시 부모와 교사가 직접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나 예외적으로 아동의 관점에서 평가한 부부관계의 질 척도는 부모가 아닌 아동이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평가방식을 살펴보면, 76편의 연구 중 51편의 연구에서 질문지법으로 개발되었다. 대상의 심리적 특성이나 행동 특성을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는 방식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영유아의 수행을 기초로 검사자가 아동의 수행 능력을 평정하는 방법인 검사법(18편), 영유아의 발달이나 행동특성 등을 관찰을 통해 측정하는 방법인 관찰법(7편)을 활용한 측정도구가 소수 개발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1980년대 이후 10년을 주기로 살펴보면, 1980년대에는 검사법 2편과 질문지법 1편이었으나, 1990년대에는 15편 중 11편이 질문지법, 4편이 검사법이었다. 2001–2010년까지는 관찰법을 활용한 측정도구가 처음 게재되었고(5편), 검사법이 소수 개발되었고(10편), 질문지법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25편). 2011년 이후에는 18편 중 관찰법이 2편, 검사법이 2편, 대다수는 질문지법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측정의 반응양식을 분석한 결과, 개발된 측정 도구들은 주로 등간척도인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는 대다수의 측정도구는 3점~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었고,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에 따라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양적으로 평정하도록 구성되었다. 리커트 척도의 점수 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유아교사의 효능감 측정도구(S. Y. Kim & Seo, 2010)로서 9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척도 점수가 짝수(예를 들면, 2, 4, 6점 등)인 척도에 비해 홀수 척도(예를 들면, 3, 5, 7점 등)가 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의 전반적 발달을 측정하는 검사도구(예: 베일리 유아발달검사, 영아발달 평가도구, 영유아용 발달검사, K-CDI 아동발달검사, 영유아 환경자극척도(EC-HOME), 유아 수행형 다중지능검사 등)의 경우 주로 예/아니오의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지능검사(예: 한국웩슬러 유아지능검사)의 경우 성공적 수행의 여부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는 형식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몇몇 측정도구는 도구의 특성상 각기 다른 점수체계가 적용되었다. 일례로, 또래관계의 질 측정도구(Chun, 1999)에서는 친구로 지명된 빈도수를 점수화하였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평가척도(Y.-O. Kim, 2003)에서는 친사회적 행동의 빈도수를 점수화하였으며,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척도(J. H. Kim, 2015)의 경우 관찰된 행동의 빈도수를 점수화하였다. Torrance 창의성 검사의 경우, 아동의 검사 수행에서 나타난 창의적 반응의 수를 점수화하였다. 하지만 몇몇 측정도구(예: 아동의 방과후 보육생활만족도 척도(Shin & Suh, 2010),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척도(Oh, 2013) 등)에서는 구체적인 척도 점수가 보고되지 않았다.

측정의 양호도

측정도구의 양호도는 측정도구 개발 시 제시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되어 있다.

신뢰도

개발된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크게 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 검사재검사신뢰도, 동형검사신뢰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관찰이나 검사로 이루어지는 측정도구의 경우 검사자간 신뢰도가 제시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대상 측정도구의 대부분(76편 중 72편)의 경우, 신뢰도 검증은 내적합치도를 통해 이루어졌고, 이외 추가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나 반분신뢰도를 제시하였다. 전체 개발된 측정도구 중 두 가지 이상의 신뢰도를 제시한 측정도구는 31개였고, 세 가지 이상의 신뢰도를 보고한 측정도구는 다섯 개였다. 일례로 아동용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C. Y. Kang, 1992)의 경우 채점자간 신뢰도, 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를 제시하였고, 교사평정용 영아발달도구(Y. J. Lee, Lee, Shin, Kwak, & Lee, 2001)에서도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정자간 신뢰도를 제시하였다.
관찰이나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측정도구에서는 평정자 간 일치도를 보고하였다. 예를 들어 Torrance 창의적 사고력 검사(S. Y. Cho, 1985)에서는 채점자간 신뢰도를 제시하였고, 교사평정용 영아발달 평가도구(Y. J. Lee et al., 2001)에서도 평정자간 신뢰도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몇몇 연구에서는 검사나 관찰로 이루어지는 측정도구임에도 불구하고 평정자간 신뢰도가 보고되지 않았다. 또한, 측정도구의 신뢰도가 전혀 보고되지 않은 연구도 한 편 있었다.

타당도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를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개발된 대부분의 측정도구들은 타당도를 보고하였다. 75편의 연구 중 60편에서 구인타당도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추가로 준거관련타당도나 내용타당도를 함께 보고하였다. 구인타당도는 대체로 요인타당도를 제시하였는데, 초기에는 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나 2005년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증가하였다.
개발된 측정도구 중 두 가지 이상의 타당도를 제시한 측정도구는 49개였다. 예를 들어 어머니의 격리불안 척도(B. H. Cho & Park, 1992), 아동행동평가척도(Han & Yoo, 1995) 등은 구성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를 함께 제시하였다. 이 중 세 가지 이상의 타당도를 제시한 측정도구는 13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걸음마기 아동의 정신건강 위험요인 선별척도(J. H. Lee & Lee, 2006), 아동용 탄력성 척도(Ju & Lee, 2007) 등이 그 예로서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를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편, 5개의 측정도구(예: Torrance 창의적 사고력 검사(S. Y. Cho, 1985), 언어영재 판별도구(Y. S. Jang & Gu, 2002) 등)는 준거관련타당도만을 제시하였고, 두 개의 측정도구(예: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관찰 척도(M.-H. Kang & Hwang, 2011),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3판 소근육 운동척도(S. H. Lee, Ahn, Lee, & Bang, 2014)는 내용타당도만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몇몇 측정도구(예: 베일리 유아발달검사(Jae, 1984), 인지기능응용척도(E. L. Cho & Hwang, 2010) 등)에서는 타당도를 충분히 보고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여년 간 아동학회지에 게재되었던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에 대한 연구 76편을 요약하고 그 경향을 측정내용과 형식, 그리고 측정의 양호도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개발된 측정도구나 검사 도구는 관련 분야의 후속 연구를 파생시키고 해당 분야의 연구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지금까지 소개되었던 측정도구에 대한 주요 고찰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점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측정도구의 대상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도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아동학 관련 분야에서 조기 선별과 중재프로그램의 제공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즉 조기 중재의 대상 선별이나 그 효과의 검증을 위해서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개발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측정도구의 개발이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사용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할 사항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영유아기의 발달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우선, 영유아기에는 전반적인 발달적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신뢰도와 타당도 면에서 양호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과제이다(Nagle, 2007). 뿐만 아니라 짧은 주의집중 시간, 낮은 동기수준, 낯선 타인에 대한 긴장감, 높은 활동 수준 등 때문에 영유아의 수행에 기초한 측정은 더욱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평가의 방식은 의미 있는 맥락 내에서 개별 아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양화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Notari-Syverson와 Losardo (2004)는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맥락 내에서 아동이 행동이나 기술을 실행할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관찰하는 방식(curriculum-based assessment), 실제 상황에서 과제를 완수하도록 함으로써 아동의 지식이나 적용능력을 평가하는 방식(performance assessment), 그리고 아동이 보이는 반응의 선행사건과 결과를 평가함으로서 아동이 보이는 반응의 이유나 과정을 이해하는 방식(dynamic assessment) 등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분석대상에 포함된 측정도구들 중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다수의 도구들은 이와 같은 다양성 면에서는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대안적 평가 방법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평정자와 관련된 사항으로서 검사나 관찰을 기초로 평가하도록 개발된 도구의 경우 주로 훈련된 검사자나 관찰자에 의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평가자의 자격이나 훈련 여부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소수 있었다. 검사법의 경우 검사의 절차가 표준화된 정도와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평가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검사에서 아동의 수행정도가 아동의 능력을 반영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검사도구 개발에 있어 검사의 구체적인 절차나 검사자의 특성에 대해 충분한 설명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관찰자의 경우 관찰자의 훈련 정도도 관찰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관찰척도 개발에 있어 관찰자 지침, 관찰자 훈련 절차 및 관찰자 간 신뢰도 등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질문지법의 경우 질문지 응답이 불가능한 영유아의 경우 교사나 부모 중 한 명이 유아의 특성을 평정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자기보고 형식이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 평정의 경우 특정 행동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자기보고 형식의 경우 개인의 내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반응을 보이거나 주관적인 평가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자기보고가 타인평정이 갖는 각각의 장단점을 고려해 볼 때 한 개인의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보고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측정도구의 형식과 관련하여, 질문지법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고, 검사법과 관찰법을 활용한 측정도구가 소수 개발되었다. 질문지법의 경우 검사법이나 관찰법에 비해 실시나 적용이 쉽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하지만 질문지법의 경우 이론적으로 합당한 구성개념을 기초로 충분한 타당도와 신뢰도가 보증되지 않는 한 그로부터 도출된 결과는 신뢰하기 어렵다는 점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특히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측정도구들 중 질문지법은 주로 부모나 교사에 의해 평정되는 만큼 영유아에 대한 정확한 평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질문지 작성 전에 구체적인 지침(예를 들면, 영유아 행동 평정에서 최근 얼마의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인지)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영유아에서 아동기까지의 발달의 변화의 폭이 크고 변화의 속도도 다양하기 때문에 단 한 가지의 형식을 활용하여 측정하기보다는 관찰법, 질문지법, 검사법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측정의 반응양식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질문지법의 경우 평정척도를 활용하였고, 검사법의 경우 체크리스트나 수행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을 활용하였고, 관찰법의 경우 빈도수나 평정척도를 활용하기도 하였다. 평정척도의 경우 양적 분석으로 활용되기 쉽다는 점이 있으나, 반응하기 애매할 경우 점수가 중앙으로 몰릴 가능성도 높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보통은 존재하지 않는 긍정과 부정으로만 이루어진 짝수 척도가 활용되고 있기도 한데, 무엇보다 각 문항에 적절한 평정이 이루어지도록 척도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측정도구의 양호도와 관련하여 신뢰도 검증의 경우 거의 대다수의 측정도구들이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고 그 외에도 각 측정도구의 특성에 맞게 검사재검사 신뢰도, 반분신뢰도 등을 추가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입증하였다. 하지만 내적합치도의 경우 측정도구의 모든 문항이 같은 특성을 측정하는지를 추정하는 것으로서(Chung, 2012), 내적합치도지수가 최소 .70이상은 유지되어야 적정함(Tsang, Wong, & Lo, 2011)에도 불구하고 몇몇 연구에서는 이보다 낮은 신뢰도 지수를 보고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소수의 연구는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보고함에 있어 부적합한 신뢰도 지수를 제시하는 제한점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검사결과의 안정성이 중요한지 혹은 척도를 구성하는 문항들이 관련성이 높은 내용들로 일관성 있게 구성되어 있는지가 중요한지를 판단한 후 이에 적합한 신뢰도 지수를 보고해야 한다. 그러나 몇몇 측정도구의 경우 내적합치도를 산출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내적합치도를 보고하여 검사의 양호도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측정도구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유형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관찰이나 검사법의 경우 관찰자간 신뢰도나 검사자간 신뢰도가 반드시 제시되어야 한다. 하지만 몇몇 검사도구나 관찰도구에서는 이러한 신뢰도가 충분히 보고되지 않았다. 아동에 대한 검사나 관찰의 오류를 방지하고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검사자나 관찰자간 신뢰도를 산출한 방식과 수치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타당도의 경우 대다수의 측정도구들이 구성타당도(요인분석)를 중심으로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과반수 이상의 측정도구에서 추가적으로 준거관련타당도나 내용타당도를 함께 보고함으로써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제대로 측정하는지와 관련된 것으로서 단순히 한 가지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보다 다양한 종류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eong, 2002)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앞으로의 측정도구 개발에서도 다양한 근거를 활용한 타당도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내용타당도의 경우 내용타당도를 어떻게 산출했는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의 여부를 제시하기보다는 전문가들로부터 내용타당도비율(content validity ratio)을 산출한 결과를 제시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발달시기에 따른, 다양한 발달 영역에 대한, 그리고 다양한 평정자를 고려한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지금까지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측정도구 관련 논문들 중에는 단 2편만이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한 측정도구였다. 하지만 최근 2차 성징 발현 연령이 상대적으로 빨라지면서 전통적으로 아동기로 간주되었던 연령에서 청소년기 특성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청소년기까지 연구 대상을 확장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지금까지 특정 발달 영역에 편중되어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온 경향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측정도구 개발이 적었던 인지 영역이나 도덕성이나 양심과 같은 간과되어왔던 주제에 대한 측정도구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발달 시기상 영유아기의 경우에는 질문지법을 활용하는 경우 주로 부모나 교사가 평정자가 되고 있다. 영유아기의 의사소통상의 제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부모 평정을 이해한다 하더라도 연구나 정책에서는 양육이나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아버지 고유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아버지가 독립된 평정자가 될 수 있도록 설계된 측정도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즉, 아버지를 평정자 혹은 중요한 측정대상으로 고려한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 그동안 개발되었거나 타당화된 측정도구 대부분의 연구대상은 아동 자신이거나 아동을 둘러싼 대표적인 미시환경인 가족과 교육기관이었다. 가족과 유보육기관은 아동의 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미시체계이다. 이에 이러한 미시 체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그리고 분석단위를 고려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가족 환경적 특성(예, HOME)을 평가하는 혹은 교육기관 특성을 평가하는 측정도구 개발도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Contents, Format, and Psychometric Quality of the Reviewed Instruments
Classification Category Content
Response domains Children’s characteristics Cognitive language development (e.g., cognitive functio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e.g., temperament, attachment, prosocial behavior, sexual development, problem behaviors)
Physical development (e.g., fine motor skills)
Daily life skills
Mental health
General developmental functioning
Othe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amily-related characteristic Parenting (e.g., verbal control, parental involvement, parenting efficacy)
Personal functioning (e.g., psychological well-being, separation anxiety)
Marital relationship (e.g., marital conflict)
Home environment
Teachers, staff, or setting features of daycare center/preschool Teacher role (e.g., teacher efficacy,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Daycare/Preschool environment (e.g., creative classroom climate)
Program (e.g., program quality)
Miscellaneous Therapist’s response, textbook

Respondent or rater Child
Parents
Professionals in daycare center/preschool Teachers, Principals
Trained observer or tester
Miscellaneous User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

Method Test Based on participants’performance
Questionnaire Participants’ trait responses
Observation Direct observation of participants’behavior

Type of response Yes/No Checklist, Likert-type scale, Number of responses, Frequency, etc.

Psychometric quality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reliability
Test-retest reliability
Alternate form reliability
Inter-rater reliability
No information found
Validity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No information found
Table 2
Contents of the Reviewed Instruments
Classification Category Frequency (%)
Domains assessed Children’s characteristics 49 (64.5)
Family-related characteristics 15 (19.7)
Teachers, staff, or setting features of daycare center/preschool 9 (11.8)
Miscellaneous 3 (3.9)
Total 76 (100.0)
Table 3
Measurement Domains of the Reviewed Instruments
Classification Category Frequency (%)
Children’s age Infants, Preschoolers 29 (59.1)
Elementary school students 17 (34.7)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1 (2.0)
Across ages 2 (4.1)
Total 49 (100.0)

Children’s developmental domain Cognitive language development 13 (26.5)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26 (53.1)
Physical development 1 (2.0)
General developmental functioning 8 (16.3)
Total 49 (100.0)

Family-related characteristics Parenting, Personal functioning 13 (86.7)
Home environment 2 (13.3)
Total 15 (100.0)

Teachers, staff, or setting features of daycare center/preschool Teacher role 5 (55.6)
Program 3 (33.3)
Daycare/Preschooler environment 1 (11.1)
Total 9 (100.0)

Miscellaneous Therapist’s response, Textbook 3 (100.0)
Total 3 (100.0)
Table 4
The Format of the Reviewed Instruments
Classification Category Frequency (%)
Respondent or ratera Child 21 (27.6)
Parents 22 (28.9)
Professionals in daycare center/preschool 18 (23.7)
Trained observer or tester 16 (21.1)
Miscellaneous 1 (1.3)

Method Test 18 (23.7)
Questionnaire 51 (65.4)
Observation 7 (8.9)

Type of responsea Yes/No Checklist 6 (7.9)
Likert-type scale 54 (71.1)
Number of responses, Frequency, etc. 13 (17.1)
No information found 5 (6.6)

Note.

a multiple-response variable

Table 5
The Psychometric Quality of the Reviewed Instruments
Category Frequency (%)
Reliabilitya Inter consistency reliability 72 (94.5)
Split-half reliability 16 (21.1)
Test-retest reliability 10 (13.2)
Alternate form reliability (Inter-rater reliability etc.) 10 (13.2)
No information found 1 (1.3)

Validitya Content validity 26 (34.2)
Criterion-related validity 46 (60.5)
Construct validity 60 (78.9)
No information found 5 (6.6)

Note.

a multiple-response variable.

References

AERA, APA. (1985).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ERA, APA. (1999).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hern, N. R., Kiehl, E. M., Lou Sole, M., & Byers, J. (2006). A review of instruments measuring resilience.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29(2), 103-125 doi:10.1080/01460860600677643.
crossref pmid
Chan, R. C., Shum, D., Toulopoulou, T., & Chen, E. Y. (2008).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Review of instruments and identification of critical issues.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23(2), 201-216 doi:10.1016/j.acn.2007.08.010.
crossref pmid
Kerlinger, F. N. (1973). Foundation of behavioural research. New York: Holt.

Levin, I. P. (1999). Relating statistics and experimental design.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Mathisen, G. E., & Einarsen, S. (2004). A review of instruments assessing creative and innovative environments within organizatio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6(1), 119-140 doi:10.1207/s15326934crj1601_12.
crossref
Nagle, R. J. (2007). Issues in preschool assessment. In B Bracken, & R. J Nagle (Eds.), The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of preschool children(4th ed, pp. 29-48). NJ: Routledg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ational Associa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ists in State Departments of Education (2003).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sessment, and program evaluation: Building an effective, accountable system in programs for children birth through age 8. Retrieved from http://www.naeyc.org/files/naeyc/file/positions/pscape.pdf.

Notari-Syverson, A., & Losardo, A. (2004). What assessment means to early childhood educators. Exchange, 72-75.

Putnam, S. P., Gartstein, M. A., & Rothbart, M. K. (2006). Measurement of fine-grained aspects of toddler temperament: The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9(3), 386-401 doi:10.1016/j.infbeh.2006.01.004.
crossref pmid pmc
Sukigara, M., Nakagawa, A., & Mizuno, R. (2015). Development of a Japanese version of the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 (ECBQ) us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data. SAGE Open, 5(2), 1-12 doi:10.1177/2158244015590443.
crossref
Tsang, K. L. V., Wong, P. Y. H., & Lo, S. K. (2011). Assessing psychosocial well‐being of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of measuring instrument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8(5), 629-646 doi:10.1111/j.1365-2214.2011.01355.x.
crossref pmid
Vignes, C., Coley, N., Grandjean, H., Godeau, E., & Arnaud, C. (2008). Measuring children’s attitudes towards peers with disabilities: A review of instruments.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0(3), 182-189 doi:10.1111/j.1469-8749.2008.02032.x.
crossref pmid
Cha, M.-J., Kim, C.-M., Kwon, H.-J., Cho, H.-D., Lee, J.-Y., Jeong, S.-J., & Park, I. (2010). A development of Learner Participation Scale in Instruc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2(1), 195-219.

Cho, B. H., & Park, S. O. (1992). Development of the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3(1), 16-37.

Cho, E. L., & Hwang, H.-I. (2010). A preliminary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Function Scale (ACFS) in Korean sett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3), 235-254.

Cho, S. Y. (1985). The validation of a test of creativity: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6(1), 41-59.

Chun, H. Y. (1999). Validation of the Revised Class Play scale for th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2), 3-19.

Chung, O. B. (2012). Child psychological testing. Seoul: Hakjisa.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5). Glossary of education terms. Seoul: Haudongseol.

Han, M. H., & Yoo, A. J. (1995). The validat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6(2), 5-21.

Jae, K. S. (1984). A study for the scaling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for Korean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5:53-64.

Jang, Y. S., & Gu, J. O. (2002). Development of a test for the identification of verbally gift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6), 139-152.

Ju, S., & Lee, Y.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for Children in grade 4 trough 6 (RSC).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8(2), 91-113.

Kang, C. Y. (1992). A preliminary study for a Korean version of the Luria-Nebraska Nneuropsychological Battery-Children’s Revis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3(2), 203-216.

Kang, H.-M., & Hwang, H.-I. (2011). A preliminary study into the Infant Observation Scal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2(5), 167-183.
crossref
Kim, H. H. (2005). Development a Korean Scale of Paternal Involvement in the Early Adolescence of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1), 107-121.

Kim, J., & Kim, Y. (2007).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Korean fathers with young children published in journals between 1980 and 2006.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5), 25-38.

Kim, J. H. (2015).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s Par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6(5), 95-113 doi:10.5723/KJCS.2015.36.5.95.
crossref
Kim, S. Y., & Seo, S.-J. (2010). The construc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4), 91-110.

Kim, Y.-O.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5), 105-118.

Lee, J. H., & Lee, S. H. (2006).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the mental health screening of toddl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7(2), 195-213.
crossref
Lee, S. H., Ahn, S. H., Lee, E. J., & Bang, H. J. (2014). A preliminary study for standardizing the fine motor scale of the Korean-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5(5), 37-61.
crossref
Lee, Y. J., Lee, J. S., Shin, E. S., Kwak, H. L., & Lee, J. W. (2001).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 rating scale for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2), 255-275.

Lim, J.-Y., & Bae, Y.-J. (2015). Valid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of the Rothbart’s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4(4), 477-497 doi:10.5934/kjhe.2015.24.4.477.
crossref
Oh, J. H. (2013).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a scale for measuring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6), 97-122.
crossref
Rhee, U. H., & Lee, K. S. (1994).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5(1), 5-21.

Seong, T. J.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Seoul: Hakjisa.

Shin, H.-K., & Suh, Y.-S.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measuring life satisfaction of After-School Child Car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1), 101-111.

APPENDICES

Appendix.

고찰 대상 연구 요약

최종 번호 연도 연구자 연구명 개발척도명 척도 대상 (연령포함) 응답자 혹은 평정자 문항 수 (문항) 척도 점수 (점) 측정도구 형식 신뢰도 타당도
1 1984 제경숙 베일리 유아발달검사의 척도화를 위한 연구 베일리 유아발달검사(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0–30개월 유아 검사자 274 지능척도와 운동척도는 예/아니오 검사법 내적합치도 제시되지 않음
유아행동기록은 9점척도

2 1985 조성연 창의성검사의 타당화를 위한 일 연구-Torrance 창의적 사고력 검사(TTCT)를 중심으로 Torrance 창의적 사고력 검사(TTCT) 초등 아동 검사자 언어-각영역에 대한 반응에 1점씩 부여 검사법 채점자간 신뢰도 준거관련 타당도
도형-검사마다 기준 다름 동형검사신뢰도

3 1988 이은해, 고윤주 아동의 행동발달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아동 행동 발달에 관한 평정척도 4-6세 유아 연구대상의 담임 교사 97 3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4 1991 천희영 아동용 기질 측정도구의 개발연구 아동용 기질척도 영유아 어머니 50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5 1992 조복희, 박성옥 어머니의 격리불안 척도의 개발 어머니의 격리불안 척도 6–36개월 영아를 둔 어머니 어머니 39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6 1992 강차연 아동용 Luria-Nevraska 신경심리검사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 Luria-Nevraska 신경심리검사 초등 아동 검사자 149 0–2점 검사법 채점자간 일치도 문항변별 집단변별 충분하지 않음
0 정상아동 내적합치도
1 경계선 반분신뢰도
2 뇌손상

7 1993 정문자, 이은해, 박경자 베일리 유아발달 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한국판 베일리 유아발달 척도 0–30개월 유아 검사자 (본 연구 아동학 전공자) 260 지능척도와 운동척도 는 예/아니오 검사법 반분신뢰도, 채점자간신뢰도 문항반응 충분하지 않음
유아행동기록은 5점 리커트 척도

8 1994 이경희, 정옥분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척도의 개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 척도 어머니, 아버지(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부모) 아동 141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반분신뢰도 구인타당도

9 1994 위영희 영유아 기질측정 척도(IBQ)의 타당화에 관한 일 연구 영유아 기질측정 척도IBQ 영유아 부모 38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Infant Behavior Questionnaire

10 1994 이은해, 이기숙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예비 연구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유아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와 원장, 전문가 143 3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내용타당도

11 1995 한미현, 유안진 아동행동평가척도(CBCL)의 타당화 연구 아동행동평가척도(CBCL) 4–18세 아동 부모 102 0–2점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12 1997 권영옥, 이정덕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척도(CPIC)의 타당화 연구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척도CPIC 아동기 자녀를 둔 부부 아동기 자녀 48 3점 리커트 척도 (0–2)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13 1998 류칠선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 척도 개발 유치원 교사이미지 평가척도 유치원 교사 유치원교사 30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내용타당도

14 1998 민하영, 유안진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 학령기 아동(3-6학년) 아동 96 4(0–3)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Daily Hassles Scalefor School Age Children

15 1999 문미옥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개발연구 유아의 창의성을 위한 교사역할 척도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교사 39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구인타당도, 내용타당도

16 1999 이은해, 고윤주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친구관계 질 척도 3학년 이상 고학년 초등학생 아동(초등학생) (구성54)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FQS Friendship Quality Scale 최종 36

17 2001 박혜원 한국웩슬러 유아지능검사의 간편형 개발 웩슬러지능검사(K-WPPSI) 유아 검사자 보고안됨 수행영역마다 다름 검사법 채점자간 일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18 1999 천희영 또래관계의 질 평가를 위한 RCP 타당화연구 RCP척도(Revised Class Play Scale) 초등학생 아동(초등학생) 30 지명된 빈도수 검사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19 2001 최형성, 정옥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양육효능감 척도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어머니 63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20 2001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곽향림, 이정욱 교사평정용 영아발달 평가도구 영아발달평가 도구 영아 연구대상의 부모 201 0–1 관찰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0 불가능 검사재검사 신뢰도
1 가능 평정자간 일치도

21 2002 이양희, 김윤영 유아용 반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의 타당화 연구 반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ABS 만 4–6세 유아 유치원교사, 임상가 22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준거관련 타당도
Antisocial Behavior Scale 검사재검사 신뢰도

22 2002 최진원, 이송희 아동의심리적복지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아동의 심리적 복지척도 아동(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5학년) 아동 (초등학생) 80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23 2002 장영숙, 구자억 언어영재 판별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언어영재 판별도구 초등학생 검사자 초등저: 10문항 영역마다 배점다름 검사법 내적합치도 준거관련 타당도
초등고: 10문항 지필검사

24 2003 김영옥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친사회적 행동평가 척도 만 4–5세 유아 교사 42 행동 빈도수 관찰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25 2003 이은해, 최혜영, 송혜린, 신헤영 어린이집 프로그램 관찰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어린이집 프로그램 관찰척도 어린이집 훈련받은 관찰자 73 3점 척도(관찰 불가능한 경우 ‘관찰 못함’으로 표기) 관찰법 내적합치도, 관찰자간 신뢰도 집단변별
준거관련 타당도

26 2004 조선화, 최명선 청소년이 지각하는 아버지 상 척도 개발 연구 아버지 상 척도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 청소년 83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27 2004 최진원 유아기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척도 개발 연구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척도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어머니 126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28 2004 현미숙 유아기 부모를 위한 부모역할지능척도(PIS)의 개발 부모역할 지능척도PIS Parental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부모 39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내용타당도
Intelligence Scale

29 2005 김희화 중학생 자녀를 둔 한국 아버지의 양육참여 척도의 개발 아버지 양육참여 척도 중학생 자녀를 둔 아버지 아버지 54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30 2005 장미경 0–3세 영유아의 정신 건강 및 발달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척도 제작 연구 DC: 0–3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Mental Health and Developmental Disorders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0–3세 영유아 부모 (어머니) 134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31 2005 정희원, 김경연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척도개발 및 타당화 예비 연구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척도 4, 5학년 초등 학생 아동(초등학생) 37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32 2005 하은혜, 유미숙, 조유진 청소년 성발달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성발달 평가척도 중학생용 고등학생용 청소년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Sexual Development Assessment Scale

33 2005 김명희, 신화신, 김지영, 김민선 영아용 몬테소리 수행평가 도구 개발 몬테소리 수행평가Infant 영아 교사(훈련된) 42 4점 리커트 척도 검사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Montessori Performance Assessment Scales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정자간 신뢰도

34 2005 이은해, 박주희, 최혜영 영유아용(만2–5세) 발달검사를 위한 예비연구 영유아용 발달 검사 영아 담임교사 112 0–미통과 검사법 내적합치도 영역별상관 계수, 연령별평균차 충분하지않음
1–통과
사회성, 자조의 경우, 0–2점

35 2005 이현주, 최인수 초등학생용 창의성 검사의 타당화 연구 창의성검사 초등학생 아동(초등학생) 124 제시안됨 검사 질문지 내적합치도 구인 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36 2006 이정화, 이소희 걸음마기 아동의 정신건강 위험요인 선별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걸음마기 아동의 정신건강 위험 요인 선별 척도 걸음마기 아동(본 연구에서는 18–36개월 대상) 부모 154 척도 1과 2는 0–2점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척도 3은 예/아니오

37 2006 정혜영, 이경화 초등학생용 수학에 대한 태도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수학에 대한 태도 척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초등학생) (구성50)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최종 31

38 2006 지성애, 정대현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학교적응 척도SAI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35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
School Adjustment Inventory

39 2006 김은정, 김영아, 김유진, 문수종 부모역할행동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연구 부모역할행동 부모 부모 29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40 2006 김정미, 신희선 K-CDI 아동발달검사 표준화연구 K-CDI 아동발달 검사 영유아 부모 270 0–1점 검사법 내적합치도 준거관련 타당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 영역별 상관계수
– 연령별 평균차

41 2007 김승옥, 김혜수, 이경옥 아동용 인터넷 게임 중독 척도 개발 자기보고형 아동용 인터넷 게임 중독 척도 아동(본 연구에서는 3–6학년 초등학생 대상) 아동(초등학생) 20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42 2007 김연하 유아문제행동지도전략 척도-교사용(TSQ)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문제행동전략 척도TSQ 유아교육기관 만4–6세 유아 교사 교사 34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for Addressing Challenging Behavior

43 2007 김정미, 곽금주 3–6세 유아를 위한 가정환경자극 척도(EC–HOME)의 타당화연구 3–6세 유아를 위한 가정환경자극 척도(EC–HOME) 3–6세 유아 부모 30 예/아니오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구인타당도

44 2007 박성연, 케네스 루빈 걸음마기 아동 기질 척도의 타당도 연구 걸음마기 기질 척도 (TBAQ) 18–24개월 아동(그러나 16–36개월 아동 대상으로도 사용됨) 부모 111 7(0–7점, 0점의 경우 본 적이 없거나 적용되지 않는 경우)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45 2007 주소영, 이양희 아동용 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초등학생 4–6학년용 아동용 탄력성 척도(RSC) 4–6학년 초등학생 아동(초등학생) 30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내용타당도

46 2007 박형신, 김영옥 유아국악능력 검사 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유아국악능력 검사 유아 검사자 43 이해 0–1점 검사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내용타당도
표현 0–2점 검사재검사 신뢰도

47 2008 민지연, 최인수 창의적 교실 분위기 평가 척도 개발 창의적교실분위기 척도CCCS 초등학생 아동(초등학생) 45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Creative Classroom Climate Scale

48 2008 이세나, 이승훈, 한석실 수학불안 대처행동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수학불안 대처 행동 척도 초등학생 아동 (초등학생) 26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49 2008 이정미, 이양희 한국판 아동용 다면적 생활만족도 척도(K-MSLSS)의 타당화 연구 한국판 아동용 다면적 생활만족도 척도 K-MSLSS 3–6학년 초등학생 아동(초등학생) 34 6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for children

50 2008 최혜영, 신혜영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 또래 놀이 행동 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아동(본 연구에서는 5–6세 아동) 교사 30 (0–3점) 4점 리커트 척도 관찰 후 평정(관찰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51 2008 서소정, 하지영, 장혜성 0–36개월 영아발달 선별검사도구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 영아발달 선별검사도구 0–36개월 부모, 교사 344 0 실패 검사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구인타당도
5 부분성공 검사재검사 신뢰도
10 성공

52 2008 장유경, 최윤영 유아를 위한 수행형 다중지능검사의 표준화 예비연구 다중지능검사 유아 검사자 138 0–1점 검사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언어 1–3점 반분신뢰도
신체 1–5점

53 2009 이진숙, 최병숙, 한지현, 한영숙 아동기 집에 대한 장소애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아동기 장소애착 측정도구 대학생 대학생 35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54 2009 황윤셰 18–36개월 영아용 기질 척도의 타당화 연구 영아용 기질 척도ECBQ 18–36개월 영아 연구대상의 담임교사 201 7점 리커트 척도 관찰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

55 2009 박찬화, 김명순 구어적 읽기 이해력 검사의 타당화를 위한 예비연구 읽기 이해력검사 5–8학년(본연구는초등 1–3학년) 아동(초등학생) 읽기정확성 10 읽기정확성 10–오류수 검사법 내적합치도 준거관련 타당도, 내용타당도
문항읽기이해 50 읽기이해 0–1점 부여

56 2010 김선영, 서소정 유아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유아 교사 효능감 척도 유아교육 및 보 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교사 55 9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Early Childhood Teacher Efficacy Scale

57 2010 신혜경, 서영숙 아동의 방과후 보육생활 만족도 척도 개발 연구 아동의 방과후 보육 생활 만족도 방과후 보육 교 실을 이용하는 초등학생 아동(초등학생) 32 (언급되지 않음)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58 2010 조은래, 황해익 인지기능응용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기초 연구 인지기능응용 척도ACFS 4, 5세 유아 연구자 / 관찰자 인지기능 65 문항마다 다름 검사법 내적합치도, 관찰자간 신뢰도 보고되지 않음
Application of Cognitive Function Scale 행동관찰 7 인지기능: 0-1, 0–2, 0–3, 0–6, 0–8
행동관찰: 0,1,2

59 2011 강현미, 황해익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관찰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영아관찰 척도 12–23개월 영아 영아 담당 교사 12–23개월용 42 5점 리커트 척도 관찰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24–35개월 영아 24–35개월용 52

60 2011 김명순, 변혜원, 김길숙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부모 평정척도 개발 연구 영유아 기본생활 습관 척도 만 2–5세 영유아 부모 46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61 2011 김정민, 김지현, 정현심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용 가정환경 척도 개발 연구 영아용 가정환경 척도 0–2세 영아 부모(본 연구에 서는 주양육자) 29 예/아니오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62 2011 최혜영, 신혜영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한 또래 놀이행동 척도의 타당화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 5–6세 아동 부모 (요인분석 전32) 4점 리커트 척도 (0–3)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30

63 2011 최혜정, 현은자 유아영어교재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영어교재 평가척도 유아영어교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 영어교사 24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64 2012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3–6세 유아 어머니/주양육자 35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65 2012 김연숙, 이종희 영아 놀이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아 놀이성 척도ITPS 만 3세까지의 부모 29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Infants & Toddlers’ Playfulness Scale 영아

66 2012 김혜경, 조복희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개발 보육교사 적성검사 보육교사 보육교사 72문항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구인타당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67 2013 오지현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척도 개발과 타당화 아동의 부정적 4-6학년 초등 아동(초등학생) 21 (언급되지 않음)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68 2013 이행숙, 한유진 아동중심놀이치료에서의 아동과 치료자 반응 관찰척도 개발 아동중심놀이치료에서의 아동과 치료자 반응 관찰척도 아동(본 연구에서는 4–9세) 훈련된 평정자(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 경험이 4년 이상인 놀이치료자와 연구자) 34 (언급되지 않음) 관찰법 내적합치도, 관찰자간 신뢰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69 2014 김연숙, 이종희 어머니용 양육의미척도 개발 연구:영아 어머니를 중심으로 어머니용 양육의미척도(MPS–M) 6–36개월 영아를 둔 어머니 어머니 (예비 39)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Meaning of Parenting Scale for Mothers 최종 25

70 2014 유수옥, 이기성, 하승민, 박수경 한국판 유아 행동 척도-2 타당화 연구 한국판 유아행동 척도–2 K-PKBS–2 3–6세 유아 교사 76 4(0–3)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s–2

71 2014 이선희, 도현심 학령 초기 자녀의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양육행동 척도PBS 학령 초기 자녀 를 둔 부모 부모 예비 123 4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 준거 관련타당도
Parenting Behavior Scale 최종 45

72 2014 이순행, 안소현, 이은지, 방희정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소근육 운동척도 예비 연구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3판 소근육 운동 척도(예비연구본) 1–42개월 영유아 검사자 66 2(0–1)점 검사법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정자간 일치도 내용타당도

73 2015 김지현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척도 유아기(만4–6세) 자녀를 둔 부모 연구자 24 범주로 분류하여 빈도 확인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 관련타당도

74 2015 박혜원, 서예나, 이진숙 한국 웩슬러유아지능 검사 4판의 공준타당도 연구 웩슬러지능검사 30–75개월 유아 검사자 보고되지 않음 보고되지 않음 검사법 내적합치도 준거관련 타당도

75 2015 서선옥, 심미경 만 5세 애착측정도구 소서의 애착 Q set 예비 타당도 연구 애착 Q-set 만 5세 어머니 75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제시되지 않음 준거관련 타당도

76 2016 김경은, 임정하, 강복정, 조은영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자만족도 척도 개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자 만족도척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자 진행과정 5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법 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교육효과 (각기9-18)

Note.* 확인적 요인분석 실시.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upplement  부록(Appendix)
  Print
Share:      
METRICS
1
Crossref
5,959
View
190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S1433-1, Myongji University,
34 Geobukgol-ro, Seodaemun-gu, Seoul, 03674, Republic of Korea
TEL: +82-10-7704-8342   E-mail: gochildren@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