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아동기와 청소년기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

Parental Influence on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in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Child Stud. 2016;37(5):1-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6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5723/kjcs.2016.37.5.1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송하나orcid_icon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Corresponding Author: Hana Song, Editor-in-Chief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5-2, Sungkyunkwan-Ro, Jongno-Gu, Seoul 03063, Korea E-mail: jni4ever@skku.edu

인간은 모든 포유동물들 가운데 가장 불완전한 형태로 태어나서 가장 긴 성장기간을 가진다. 성인이 되기까지 약 20년간의 기간이 요구된다. 이는 1–2년이면 성견이 되는 개나 인간처럼 영장류에 속하는 원숭이, 또한 인간만큼 수명이 긴 코끼리와 비교해도 상당히 긴 기간에 해당한다. 그러나 인간은 신체적인 완숙 이후에도 다른 발달 영역에 아직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지적 능력, 성격, 사회정서 능력 등은 신체적으로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발달한다.

이처럼 긴 인간의 성장 기간은 아동 발달에 두 가지를 시사점을 준다. 첫째는 현재 성장하고 있는 아동들의 발전 가능성이다. 완성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은 많은 부족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더 좋은 방향으로 발달을 이루어 나갈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는 부모자녀 관계의 중요성이다. 아동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환경 가운데 부모-자녀 관계는 가장 먼저 시작되어 가장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관계이다.

아동들은 신생아기와 영아기에 거의 깨어있는 시간의 대부분을 부모와 함께 보내지만, 유아기에는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이 이전보다 많게는 절반까지 줄어든다. 더욱이 본격적으로 학업이 시작되는 중기 아동기와 청소년기에는 학교나 학원에서 또래나 교사와 보내는 시간이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아동의 발달 단계에 따라 부모와의 상호작용은 그 형태나 목적도 다르고 영향력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아동학회지 이번 호는 모두 아홉 개의 경험적 연구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 중 다수는 부모가 중기 아동기 및 청소년 자녀들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다. 이 시기는 독립과 개별화에 대한 아동의 욕구가 높아지면서 부모와의 관계가 간접적으로 전이되는 시기이다. 부모는 일방적으로 보호와 양육을 전담하는데서 벗어나 아동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의사소통하고, 지지자 및 멘토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또래를 비롯한 다른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부모-자녀 관계가 이전보다 더 많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 연령대의 아동을 다루는 연구들은 부모의 직접적 영향력과 다른 변인을 매개로 한 간접적 영향력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점에 주목하여 이번 호의 연구들을 살피는 것이 중기 아동기와 청소년기 부모-자녀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연령에 따라 연구 결과를 비교해서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호의 연구들을 간단히 소개하자면,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형성된 애착 안정성에서의 성차가 학령기 남아 집단에서 더 뚜렷이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여아보다 남아의 갈등 대처 방식에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독립의 욕구가 강한 후기 청소년기 대학생 자녀의 자기조절과 자아탄력성에도 부모의 영향은 여전히 유의함을 밝히고 있으며, 비취업모인 어머니가 영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양육의 유기적 관점에서 논하고 있다. 특히, 어떤 연구는 아버지-자녀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아버지에 대한 애착은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더불어 청소년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만, 또래 애착과 이성 관계를 함께 고려했을 때는 그 영향력이 미비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번호에는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연구 외에도 흥미로운 주제의 연구들이 포함되어 있다. 몇몇 연구들은 유아의 미디어 사용과 또래 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유아의 언어 발달 정도에 따라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제시하였고, 유아의 사회친화적 기질은 우울의 보호 요인, 반면 문제 행동은 지능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영유아 교사 인성교육에 대한 연구는 교수 능력과 더불어 아동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교사인성척도의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생태유아교육 연구는 자연친화적 활동이 유아의 정서 지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 임을 밝히고 있다. 단풍이 물들어가는 이 가을에 유아들이 야외로 나가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Humans have the longest maturation period among all mammals. Humans have approximately 20 years of maturation before they become adults. This is a relatively long period compared with the maturation time for dogs, which become grown-ups within one to two years, monkeys, which are also primates, and elephants, which live as long as humans. However, even after their physical maturation is complete, humans are less completely functional in other developmental areas: the cognitive ability, personality, and socio-emotional ability of humans are further developed in later periods of development.

This long period of human maturation has two implications to child development. First, each child has a great potential. Young children obtain lots of opportunity to improve various competence for a long time, and have a better life later on.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s underline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s the first social relationship that a child forms, and it could influence child development longer than any other social relationships that he/she develops in subsequent life stages.

Newborns and infants usually spend most of their waking hours with their parents, but this time is reduced up to as much as half during children’s preschool years. In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children’s time spent with peers or teachers becomes longer than that spent with their parents. Thus, the patterns and purposes of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its influence on child outcomes vary with the developmental stages.

The current issue of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presents nine empirical studies. Many of these studies examined parents’ influence on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in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Comparing the findings of such studies relative to children’s age from infancy to later adolescence might be interesting.

In summary, these studies showed that gender differences in the types of attachment security, which might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parent-child interactions, were observed more clearly in boys in middle childhood, and that male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s affected their coping abilities, but this was not the case for female adolescents. Studies also reported that the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was also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students’ regulatory focus via ego-resilience, and that the rel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a child’s socio-emotional development varies with the status of the mother’s employment. Especially, a study focused on examining father-child relationship. Attachment to fathers, as well as to mothers,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but the influence of fathers was marginal after peer and romantic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This issue also includes studies on topics other tha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se studies suggested that children’s language abil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ink between media use and peer interaction, and that children’s temperament could be a protective factor for depression,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 could be a risk factor for intelligence.

Furthermore, a study on personality education for teachers indicated that communication ability wa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of the Teaching Competency Scale. An eco-centered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increase emotional intelligence in preschool children. Thus, children should be encouraged to go outside and enjoy the beautiful nature as an activity of eco-centered program in fall.

Hana Song, Editor-in-Chief

of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editorial was reported.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