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Objective:This study examined how child 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recognition of music and movement relate to their teaching intention of music and movement.
Methods:Participants were 200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Results: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playfulness, teaching intention of music and movement and their recognition of music and move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child care teachers’ playfulness influenced on their teaching intention of music and movement. Finally, teachers’ recognition of music and move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layfulness and their teaching intention of music and movement.
서론음악은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인간에게 행복감과 즐거움을 선사해 준다. 또한 급변하는 현 시대에 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한 우리의 정신적 피로를 완화시켜 주고, 정서적으로 안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인간은 태내기부터 외부의 소리와 음악에 반응을 보이고, 소리를 통해 부모와 교감하며 애착을 형성하여 정서적 안정감을 갖는다(Murphy & Brown, 1986). 음악은 영유아의 일상에 웃음과 즐거움을 가져다주며 영유아로 하여금 자유롭게 움직이고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도록 해주는 매개체가 된다. 의사소통이 자유롭지 않은 어린 연령의 영유아에게는 자신의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주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음악은 영유아의 신체, 인지, 언어뿐 아니라 정서사회성의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mpbell & Scott-Kassner, 2002; Greata, 2006).
영유아기는 음악적 능력의 발달에 있어 중요한 시기이며 이런 이유로 영유아기관에서는 이들에게 발달특성에 적합한 양질의 음악적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Gordon, 1997). 즉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음률활동은 대·소집단 활동, 실외놀이, 자유선택활동, 야외학습 등에서 이루어지는데, 영유아의 질 높은 음악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음률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기관 내의 청각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구성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음률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집에서의 음률활동은 효과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유선택활동 흥미영역 구성에서 음률영역이 설치 정도가 가장 낮았고(M. J. Lee, 2002), 실내자유선택활동 흥미영역 중 음률영역에서 유아의 활동 빈도가 가장 낮았고, 교사는 가장 적은 활동을 계획하였으며(I. J. Hwang, 2014), 교사의 개입빈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H. H. Hwang, 2000). 즉 음률활동은 교사들에게는 힘들고 어려운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으며(M. J. Lee, 2002), 교사들은 다른 영역에 비해 음률영역을 상대적으로 부담스러운 영역으로 여겨서 기피하거나(Byo, 2000), 스스로가 음악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하다고 여겨 음률지도를 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J. S. Park & Moon, 2006)는 것이다.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보육실의 물리적 환경을 어떻게 구성하고, 음률활동에 대한 정서적 분위기를 어떤 방식으로 형성하며, 활동을 전개할 때 영유아들을 어떻게 대하는 지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 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교사가 음률지도를 중요하다고 인식한다면 이는 교사의 지도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교사가 음률활동에 대한 교수 효능감을 가지고 그 결과 음률활동의 교수에 대해 편안한 감정을 갖고 안정감을 느낀다면, 이는 교사의 음률활동 지도가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도 이와 관련된 입장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유아교사가 가지고 있는 유아음악교육이나 음악활동에 대한 인식은 유아음악교육 수업 운영과 실제 교수상황에 영향을 미치고(Koh, 2008; J. Y. Park & Lee, 2014; J. S. Park & Moon, 2006), 음악활동교수 실제를 위한 계획과 노력은 교사가 음악활동에 관해 어떤 사고방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있느냐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Murphy & Brown, 1986). 또한 대부분의 유아교사는 음악활동에 대한 중요성과 다양성에 대하여 충분히 인식하지만 음악에 대한 지식의 부족, 자신감 부족, 음악지도 능력의 부족 등 음악활동에 대해 한계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J. Y. Park & Lee, 2013).
즉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음악교수의 실제는 보다 활성화되고 보다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수업이 이루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를 감안할 때,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보다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음률활동 지도가 이루어질 것이라 추론해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음악활동에 대한 인식의 형성이 실제 교수 상황에 영향을 미친다면, 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음률활동은 본질적으로 즐거움이나 흥, 가락이나 표현의 속성을 가지며, 심리적 성향 중 이런 특성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변인으로 놀이성(playfulness)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놀이성이란 즐거움을 더하기 위해서 자기의 활동을 재미있는 활동으로 생각하거나 또는 그런 활동에 참여하는 성향으로 정의된다(Glynn & Webster, 1992). 놀이성은 개인이 가진 고유한 성격특성으로서, 놀이성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환경을 더 자극적이고 즐겁고 유쾌하게 만들며, 그 결과 개인의 안녕감, 직무 스트레스의 조절 등에 있어 보다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chaefer & Greenberg, 1997). 뿐만 아니라 놀이성이 높은 사람은 어려운 상황도 더 쉽게 지각하고, 일을 수행하는 능력도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다(Glynn & Webster, 1992). 따라서 놀이성이 높은 사람은 상황을 긍정적으로 즐기고 보다 즉흥적이며 쾌활하고, 기발한 생각을 잘 하는 성격으로 영유아와 음률활동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요소이며, 보다 적극적으로 음률활동을 할 수 있는 성격요인이라고 예측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놀이성이 높은 보육교사가 영유아와의 음률활동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며, 음률활동에 대한 교수 행동에서 보다 적극성을 나타내고 있는지 분석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교사는 음률활동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게 가지면서, 영유아가 일상생활의 놀이와 활동 속에서 자연스럽게 음악적 경험을 통합해낼 수 있도록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고 음률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Chang, 2007; Campbell & Scott-Kassner, 2002), 음률활동의 지도에 있어 적극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음률지도의 적극성은 교사가 영유아의 음률경험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의 교수행동이나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적극적이고 열정적인 행동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Ajzen, 1989). 교사가 어떻게 가르치며 행동하느냐는 매우 중요하고, 반응적인 교사와 상호작용하는 영유아는 보다 안정적인 교류를 경험하며 또래와 사회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다(Kontos & Wilcox-Herzog, 1997). 또한 유아교사가 유아들의 음악적 행동에 대해 민감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해 주고 지원한다면 유아들은 적극적으로 음악적 탐색을 경험할 수 있다.
음률활동에 대한 그간의 선행연구를 종합해볼 때,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J. Y. Kim, 2008; K. I. Kim, 2010; S. Y. Kim, Kim, & Kim, 2015; J. Y. Park & Lee, 2013; Song & Chung, 2015)과 음률활동에 대한 교수 행동(Koh, 2008; J. Y. Park & Lee, 2013; J. S. Park & Moon, 2006)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이들의 음률지도 행동이나 교수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아울러 교사의 놀이성이 긍정적 놀이신념을 매개하여 놀이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Kwon, 2012)를 통해 교사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고 음률지도의 적극성 또한 높을 것이라 추론해볼 수 있다. 또한 놀이성이 변화되기 힘든 개인 고유의 특성임을 감안할 때, 놀이성이 낮은 교사는 어떻게 음률지도 적극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인가에서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다. 놀이성은 타고난 부분이 많고 변화가능성이 낮은 기질적 성향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일부는 후천적으로 경험이나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 J. Lee, 2002). 인식이란 교육으로 전환 가능한 점을 비추어 볼 때 놀이성이 낮더라도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하여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음률지도 적극성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내는 것은 의미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놀이성과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음률지도 적극성 간의 관계를 밝혀보기 위해 Baron과 Kenny (1986)의 매개변인 탐색을 위한 절차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매개효과 탐색을 위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먼저 교사의 놀이성이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으로 교사의 놀이성이 음률지도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교사의 음률지도 적극성에 미치는 교사 놀이성의 영향력이 이들의 음률지도에 대한 인식에 의해 매개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연구대상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을 표집하기 위해 서울, 경기, 인천의 지역을 고려하여 15개 어린이집을 편의 표집하여 해당 기관의 0-5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200부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보육교사의 연령 분포는 26세-30세 미만이 33%로 가장 많았고, 20-25세 미만이 23%, 31-35세 미만 17%, 40세 이상이 16.5%, 36-40세 미만이 10.5%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의 학력은 4년제 졸업이 51.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전문대 졸업 30%, 보육교사교육원 졸업 14.5%, 대학원 졸업 2.5%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34.5%, 미혼자가 65.5%였다. 연구대상의 보육 경력은 5년 미만이 67.5%로 가장 많았고, 5년 이상~10년 미만이 26.%, 10년 이상~15년 미만이 5%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담당한 영유아의 연령반 분포는 만 2세반이 28.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만 1세반이 24.5%, 만 3세반이 15.5%, 만 0세반이 8.5%, 만 4세반 8%, 만 5세반 7%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도구교사의 놀이성보육교사의 놀이성 검사 문항은 총 22개의 형용사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쌍의 형용사 중 자신과 더 가깝다고 생각하는 곳에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되어있다. 각 형용사 척도 쌍의 왼쪽 문항이 더 높은 점수로 채점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의 놀이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문항의 내용 적합도를 위해 아동학 전공 교수와 어린이집 원장 등 영유아전문가 2인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교사의 놀이성 도구 전체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93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별로는 쾌활성 .93, 상상력 .66, 즉흥성 .72, 기발성 .78으로 이 도구를 사용한 선행연구들(Kang, 2007; J. S. Kim, 2011; J. Y. Kim, 2015; Kwon, 2012; H. S. Park, 2003)과 비슷한 신뢰도 수준을 나타내었다.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척도는 Shannon의 척도를 Chang(2007)이 번역하여 구성한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문항을 토대로 연구진이 보육교사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에 적합하도록 일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하위영역으로는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보는 신념, 음률활동 지도 시 효능감을 보는 효능감, 음률활동 실행에서 편안함의 정도를 보는 편안함의 3개 하위요인 총 1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긍정적임을 나타낸다. 수정 보완한 도구 내용의 타당화를 위해 아동학 전공 교수와 어린이집 원장 등 영유아전문가 2인으로부터 문항의 내용에 대해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90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음률활동에 대한 신념 .73, 음률활동에 대한 효능감 .83, 음률활동에 대한 편안함 .82로 나타났다.
음률지도의 적극성교사의 음률지도 적극성 척도는 연구진이 Wilcox-Herzog과 Ward (2004)가 개발한 교수 적극성 척도(Teaching Intention Scale [TIS])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TIS는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참여,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민감성, 교사의 놀이형태 등 교사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행동에서 나타내는 적극성을 자기보고식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교수 행동 자체에 관심을 둔 것이 아니라 교수 행동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임하는지의 적극성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TIS 척도는 모든 흥미영역에서의 활동을 포괄하여 교사가 교수 전반에서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이나 교수 행동에 얼마나 적극적인 의도를 갖고 있는지를 묻고 있는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행동 적극성을 음률지도와 관련된 부분에 한정지어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률 활동에 대한 흥미제공 및 환경구성과 수업에 대한 체계적인 교재교구 준비를 묻는 문항을 추가하여 음률지도에 대한 교사 행동의 적극성을 전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성된 문항에 대해 어린이집 교사 15인을 대상으로 집단 면접을 통해 설문 문항의 내용이 현장의 상황을 반영하는데 적합한지 알아보았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음률지도 적극성 척도는 하위요인이 별도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총 22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이루어져 점수가 높을수록 음률활동에 지도에 대한 교사의 적극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음률지도의 적극성 도구는 아동학 전공 교수와 어린이집 원장 등 영유아전문가 2인으로부터 문항 내용에 대해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92로 나타났다.
연구절차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보육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음률지도 적극성 척도의 내용이 적합한지 묻는 예비 조사를 시행하였고, 설문지가 완성된 후에는 다시 보육교사 5명을 대상으로 전체 문항 내용의 적합성, 각 문항에 대한 이해의 용이성, 소요 시간 등을 살펴보았다. 예비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의미가 불분명한 일부 표현이나 단어는 연구진이 다시 수정 보완하여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본 조사는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조사 대상이 된 수도권 어린이집 15개소의 전체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진행하였다. 2주 정도의 여유를 두고 연구자가 재방문하여 설문지를 직접 회수하거나 원장을 통해 잔여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처음 배포된 설문지는 235부였으며, 회수된 230부 중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것을 제외하고 총 200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IBM Co., Armonk, NY)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 변인들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놀이성,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음률지도 적극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매개하여 음률지도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 (1986)의 절차에 의한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음률활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놀이성과 음률지도 적극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의 매개효과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교사의 놀이성은 7점 척도 중 평균 4.69점(SD = .83)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었다. 교사의 놀이성 하위변인 중 쾌활성의 평균은 5.04점(SD = 1.0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상상력과 기발성이 각각 평균 4.27점(SD = 1.18), 즉흥성이 평균 4.17점(SD = .90)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영유아교사의 놀이성은 중간 수준 이상이며 특히 쾌활성의 성향이 다른 하위요인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점수는 5점 척도 중 평균 3.72점(SD = .46)으로 중간 이상의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음률활동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들의 경향을 살펴보면, 영유아 음률 활동에 대한 가치, 즉 신념 인식이 평균 3.91점(SD = .49), 음률활동의 진행에 대해 편안하게 생각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편안함이 평균 3.86점(SD = .59), 음률활동 지도에 대한 효능감이 평균 3.49점(SD = .53)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음률활동 적극성의 점수는 5점 척도 중 평균 3.88점(SD = .42)으로 다소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의 대상인 보육교사들은 영유아를 위한 음률활동 진행과 이를 위한 준비, 환경 조성 등에 적극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보육교사의 놀이성,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 음률지도 적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단순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는 Table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보육교사의 놀이성과,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 및 음률활동 적극성 간에는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인 인식 수준이 높았고(r = .280, p < .01),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적극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 = .259, p < .01). 아울러, 보육교사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이들의 음률활동 적극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 = .683, p < .01).
하위변인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보육교사의 놀이성 하위 변인 중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변인은 쾌활성(r = .335, p < .01), 상상력(r = .264, p < .01), 기발성(r = .214, p < .01)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하위 변인 중 음률활동의 가치를 인식하는 정도인 신념(r = .220, p < .01) 점수가 높았고, 음률활동의 지도에 대한 효능감을 보는 효능감(r = .220, p < .01) 점수가 높았으며, 음률활동의 전개를 편안하게 인식하는 편안함(r = .286, p < .01) 점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놀이성 하위 변인 중 음률지도 적극성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변인은 상상력(r = .291, p < .01), 쾌활성(r = .282, p < .01), 기발성(r = .230, p < .01)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하위 변인 중 음률지도 적극성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변인은 음률활동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신념(r = .683, p < .01), 음률활동 경험을 편안하게 인식하는 정도인 편안함(r = .582, p < .01), 음률활동에 대한 효능감을 나타내는 효능감(r = .545, p < .01)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놀이성과 음률지도 적극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놀이성과 음률지도 적극성을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먼저 Baron과 Kenny (1986)의 매개효과 검증 방법에 따라 기본가정을 충족하는지 살펴보았다. 1단계에서 교사의 놀이성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여 매개변인으로 가정한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2단계에서 독립변인을 교사의 놀이성으로 하여 종속변인인 음률지도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3단계에서 교사의 놀이성과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독립변인으로 각각 투입하여 교사의 음률지도 적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교사의 놀이성과 음률지도 적극성 간의 관계에 대한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Table 3과 같다.
표를 보면, 첫째 단계에서 독립변인인 교사의 놀이성은 매개변인인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280, p < .001). 둘째 단계에서 독립변인인 교사의 놀이성이 종속변인인 교사의 음률지도 적극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259, p < .001). 셋째 단계에서 독립변인인 교사의 놀이성이 음률지도 적극성 에 미치는 영향력은 줄어들어 유의하지 않게 되었고(β = .073, ns), 대신 매개변인인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음률지도 적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663, p < .001). 따라서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의 음률지도 적극성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알 수 있다(β = .259, p < .001 → β = .073, ns).
위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놀이성과 음률지도 적극성의 관계에서 교사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의 매개모형을 Figure 1에 제시하였다. 그림을 보면 보육교사의 놀이성은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인식을 매개로 음률지도의 적극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매개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한 결과(a = .154, b = .604, Sa = .038, Sb = .049),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의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Z = 3.84, p < .001).
독립변인인 교사 놀이성의 하위요인 별 매개효과 검증 결과를 Table 4에 제시하였다. Table 4와 같이, 교사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은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상상력과 음률지도 적극성 간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쾌활성과 기발성을 독립변인으로 했을 때 음률지도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교사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쾌활성이 이들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을 매개변인으로 음률지도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본 결과,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쾌활성이 매개변인인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β = .335, p < .001). 2단계에서 독립변인인 교사의 쾌활성이 종속변인인 음률지도 적극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282, p < .001). 3단계에서 교사의 쾌활성이 음률지도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줄어들어 유의하지 않게 되었고(β = .060, ns),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β = .513, p < .001)은 음률지도 적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은 교사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쾌활성과 음률지도 적극성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335, p < .001 → β = .060, ns).
다음으로, 교사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상상력이 이들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을 매개변인으로 음률지도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교사의 상상력은 매개변인인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264, p < .01). 2단계에서 독립변인인 교사의 상상력이 종속변인인 음률지도 적극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291, p < .001). 3단계에서 교사의 상상력(β = .119, p < .05)과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β = .652, p < .001) 모두 음률지도 적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때, 상상력의 영향력은 2단계에서보다 줄어들었지만 유의값이 사라지지는 않았으므로 음률활동에 대해 인식은 상상력과 음률지도 적극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264, p < .001 → β = .119*, p < .01 ).
한편, 교사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즉흥성은 매개변인과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β = .045, β = .047). 마지막으로, 교사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기발성은 1단계에서 교사의 기발성이 매개변인인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 = .214, p < .001), 2단계에서 독립변인인 교사의 기발성이 종속변인인 음률지도 적극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230, p < .001). 3단계에서 교사의 기발성은 이들의 음률지도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줄어들어 더 이상 유의하지 않게 되었고(β = .088, ns), 이보다는 교사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이 음률지도 적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665, p < .001). 이 때, 기발성의 영향력이 2단계에서보다 줄어들어 유의값이 사라졌으므로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기발성과 음률지도 적극성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214, p < .001 → β = .088, ns).
논의 및 결론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놀이성과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음률지도 적극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이들의 음률지도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어린이집의 만0-5세 담당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성,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 음률지도의 적극성의 일반적 경향을 보면, 보육교사의 놀이성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하위요인의 점수는 쾌활성, 상상력, 기발성, 즉흥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놀이성을 연구한 J. Y. Kim (2015)의 연구에서 아버지의 놀이성이 쾌활성, 상상력, 기발성, 즉흥성의 순서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한다. 이로 미루어볼 때 성인의 놀이성은 대개 쾌활성이나 상상력 등의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중간 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였고, 하위요인의 점수는 음률활동의 가치를 인식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신념이나 음률활동의 전개를 편안하게 인식하는 수준을 의미하는 편안함에 비해 음률활동에 대한 효능감을 나타내는 효능감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음률활동에 대한 효능감 요인이 신념이나 편안함 요인에 비해 낮게 나타난 결과는 음률활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이 음악에 대한 자신의 전문지식 수준이 낮다고 생각한다는 J. S. Park과 Moon (2006)의 연구결과와 일관된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의 놀이성,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 음률지도의 적극성 간에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음률활동에 대한 이들의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놀이성이 놀이신념 및 놀이 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이 있다고 밝힌 Kwon (2012)의 연구결과와 일관된 것이며, 음악을 즐기는 교사의 성향과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 간의 관계를 밝히 E. J. Kim (2011)의 연구결과와도 비슷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이들의 음률지도 적극성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다고 나타난 결과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및 음악교육에 대한 편안함과 음악교수의 실제 간에 정적상관 관계가 있다고 밝힌 선행연구(J. S. Park & Moon, 2006)를 지지하는 것이다. 즉 교사 자신이 영유아를 위한 음률 활동에 대해 그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고 음률활동과 관련하여 교수행위에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이 강할수록, 이들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행동하게 되고 이는 결국 영유아를 음률지도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셋째, 교사의 놀이성은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이들의 음률지도 적극성에 직, 간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교사의 놀이성이 이들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놀이성이 이들의 놀이 교수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Kwon (2012)의 연구결과와 일관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사의 놀이성이 이들의 음률지도 적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놀이성이 이들의 반응적인 양육행동과 양육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Kang, 2007; J. S. Kim, 2011) 결과와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교사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반응적 행동이나 음률활동 지도와 같은 교사의 행동이 적극적으로 나타난 결과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놀이성이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매개로 이들의 음률지도 적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이들의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J. Y. Park과 Lee (2014)의 주장과 일관된 것이다. 교사의 놀이성 중 이들의 음률지도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음률지도 적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난 하위변인은 쾌활성과 상상력, 그리고 기발성이었다. 교사가 쾌활성과 상상력 성향이 높을수록 이는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효능감이나 편안함을 높여주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결과는 음악교수 효능감이 높을수록, 음악교육에 대한 편안함이 높을수록 이들의 음악교수 실제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힌 선행연구(J. S. Park & Moon, 2006)와 맥락을 함께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놀이성은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매개로 이들의 음률지도 적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의 놀이성이 영유아에 대한 반응적 행동과 적극적 교수 행동을 이끌어낸다는 일련의 선행연구(Kang, 2007; J. S. Kim, 2011; Kwon, 2012)를 지지하는 것이며, 교사의 교수 적극성은 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더욱 높아진다는 그간의 연구결과(Koh, 2008; J. Y. Park & Lee, 2014; J. S. Park & Moon, 2006)와 일관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나 음률지도 적극성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이 자신의 즐거움을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이를 영유아와의 음률활동 전개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나 음률지도 적극성은 쾌활성, 즉흥성, 상상력, 기발성 등의 성향이 높아지고 전반적으로 교사가 자신의 즐거움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자발적인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보다 제고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적극성을 높이려면 먼저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가치 부여, 음률활동 지도에 대한 교수효능감, 음률활동에 대한 자신감 등을 키워줌으로써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계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식이란 전환 및 재형성 가능하며 발전하고 변화한다는 점에 근거할 때 교사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의 각 하위요인 별로 효과를 주목하여 각 차원의 개입을 통해 인식을 긍정적으로 형성 또는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놀이성이 낮은 교사들도 교사 교육을 통해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고 긍정적으로 형성하게 된다면 이들이 영유아를 위한 음률지도에 있어서 더욱 적극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인 음률활동에 대한 신념과 효능감, 편안함을 고려하여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위한 교육내용에 음률활동에 대한 가치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음률지도 시에 효능감과 음률활동 실행에 있어서 보다 편안함을 가질 수 있도록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음률활동에 대한 포괄적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사 연수 지원 뿐 아니라 어린이집 내에서 교사의 음률활동 지도를 위한 교수 효능감 제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을 표집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교사의 놀이성과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음률지도 적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살펴보았지만, 이밖에 교사의 음률지도 적극성을 강화하는 여타 요인을 다양하게 포함시키지는 못하였다. 향후 연구를 통해 교사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이나 교수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더욱 포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교사의 음률활동에 대한 인식 및 교수 적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교사의 놀이성에 주목하여 그 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하였으며, 음률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의 매개효과를 밝혀 교사의 음률지도 적극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Table 1Table 2
Table 3
Table 4
ReferencesAjzen, I. (1989). Attitude structure and behavior. In A. R. Pratkanis, S. J. Breckler, & A. G. Greenwald (Eds.), Attitude structure and function. (pp. 241-274). Hillsdale, NJ: Erlbaum.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yo, S. J. (2000). Classroom teachers’ and music specialists’ perceived ability to implement the national standards for music education. Arts Education Policy Review, 101(5), 30-35.
Campbell, P. S., Scott-Kassner, C. (2002). Music in Childhood. New York, NY: Schirmer Books.
Chang, E. J. (2007).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in-service teacher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Glynn, M. A., & Webster, J. (1992). The adult playfulness scale: An initial assessment. Psychological Reports, 71:81-103 doi:10.2466/pr0.1992.71.1.83.
Gordon, E. E. (1997).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IL: GIA Publication, Inc.
Greata, J. (2006). An introduction to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Hwang, H. H. (2000). Frequencies and patterns of kindergarten teacher intervention on the interest center during free play peri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Hwang, I. J. (2014). An analysis of free choice activities reflected in daily lesson plan.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17:45-61.
Kang, M. K. (2007).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in the influence of mother's playfulness to parenting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E. J. (2011).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young children`s music aptitude, musical attitude and teacher`s attitude variables concerning music.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0(2), 221-249.
Kim, J. S. (2011). The effect of fathers' playfulness, parental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Kim, J. Y. (2008).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3), 389-397.
Kim, J. Y. (2015). The relation between father's playfulness, rearing behavior and child's 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Kim, K. I. (2010). A Study on Kindergarte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Kim, S. Y., Kim, K. I., & Kim, Y. O. (2015). A study on actual situation and recognition of teacher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 453-485.
Koh, K. N. (2008). 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nd practice of music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Korea.
Kontos, S., & Wilcox-Herzog, A. S. (1997). Teachers' interactions with children: Why are they so important? Young Children, 52(2), 4-12.
Kwon, H. J. (2012).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positive beliefs about children’s pl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in teachers and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3(6), 133-147.
Lee, M. J. (2002). A study of the variable influencing teachers' attitudes toward child's music activity.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9(2), 159-187.
Murphy, M. K., & Brown, T. S. (1986). A comparison of preferences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4:134-139 doi:10.2307/3344741.
Park, H. S. (2003). A study on mother's playfulness with her child in early childhood,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ark, J. S., & Moon, H. J. (2006).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 music education, music teaching practic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9), 9-19.
Park, J. Y., & Lee, M. (2013). A study of knowledge, perception, and teaching efficacy bout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ctivity.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6), 5-20.
Park, J. Y., & Lee, M. (2014). A study on types of music teaching practice according to knowledge, perception, and teaching practice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4(1), 343-368.
Schaefer, C., & Greenberg, R. (1997). Measurement of playfulness: A neglected therapist variable.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6(2), 21-31 doi:10.1037/h0089406.
Song, J. S., & Chung, H. M. (2015). A study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their difficulties with its instru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1), 97-104.
Wilcox-Herzog, A., & Ward, S. L. (2004). Measuring teacher's perceived interactions with children: A tool for assessing beliefs and inten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6(2), 1-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