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에 의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영아
Korean J Child Stud.2014;35(3):1-14. DOI: https://doi.org/10.5723/KJCS.2014.35.3.1
|
|
15 |
어머니의 마음의식,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김경선 , 임지영
Korean J Child Stud.2014;35(3):15-29. DOI: https://doi.org/10.5723/KJCS.2014.35.3.15
|
|
31 |
유아의 자기통제력과 행동문제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 -유아관계의 조절효과
김선희
Korean J Child Stud.2014;35(3):31-4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4.35.3.31
|
|
49 |
3, 4, 5세 유아의 공격행동에 대한 도덕 판단 및 정당화 추론과 틀린믿음 이해와의 관계
김유미 , 이순형
Korean J Child Stud.2014;35(3):49-69. DOI: https://doi.org/10.5723/KJCS.2014.35.3.49
|
|
71 |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삶의 만족도 관련 변인의 유형화 연구
천희영 , 송영주 , 이미란
Korean J Child Stud.2014;35(3):71-92. DOI: https://doi.org/10.5723/KJCS.2014.35.3.71
|
|
93 |
학령 초기 자녀를 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엄은주 , 박보경 , 도현심
Korean J Child Stud.2014;35(3):93-118. DOI: https://doi.org/10.5723/KJCS.2014.35.3.93
|
|
119 |
육아지원기관 교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조직 냉소주의, 임파워먼트 간의 구조적 관계
예남희 , 민하영
Korean J Child Stud.2014;35(3):119-135. DOI: https://doi.org/10.5723/KJCS.2014.35.3.119
|
|
137 |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이 지각하는 일상적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낙관적 사고의 중재효과
노지운 , 신나나
Korean J Child Stud.2014;35(3):137-156. DOI: https://doi.org/10.5723/KJCS.2014.35.3.137
|
|
157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기대와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가 아동의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윤남정 , 신나나
Korean J Child Stud.2014;35(3):157-176. DOI: https://doi.org/10.5723/KJCS.2014.35.3.15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