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ous issue | > Previous issue |
|
|
|
377 |
부모의 단어지도가 유아의 수용어휘 크기에 미치는 영향: 단어인식의 매개효과
정수지, 최나야
Korean J Child Stud.2022;43(4):377-387.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377
|
|
389 |
직무만족도가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관리자 직급의 취업모를 중심으로
이채리, 장경은
Korean J Child Stud.2022;43(4):389-400.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389
|
|
401 |
어머니의 사회적 역량이 코로나19 시기 돌봄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학교기반 공동체 의식과 원격수업 만족도의 순차매개효과
김민정, 서혜민, 임민영, 이강이, 박혜준
Korean J Child Stud.2022;43(4):401-413.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401
|
|
415 |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예비보육교사의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
김미정, 노규미, 김정민
Korean J Child Stud.2022;43(4):415-424.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415
|
|
425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과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조다은, 이운경
Korean J Child Stud.2022;43(4):425-439.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425
|
|
441 |
영상미디어 이용환경에 따른 유아의 미디어 이용조절 차이: 물리적 · 상황적 · 부모 요인을 중심으로
김윤경, 김창숙
Korean J Child Stud.2022;43(4):441-454.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441
|
|
455 |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 초기의 또래신뢰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우울을 매개로
강지윤, 김지원, 강민주
Korean J Child Stud.2022;43(4):455-469.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455
|
|
471 |
어머니의 어린시절 자연경험이 유아의 자연유대감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연유대효능감 매개효과
신승희, 이영은
Korean J Child Stud.2022;43(4):471-483.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471
|
|
485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을 통한 부모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
구혜민, 이승은, 이예슬, 김현경
Korean J Child Stud.2022;43(4):485-497.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485
|
|
499 |
청소년 비행의 잠재집단 분류 및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주요 예측 변인 검증
이재윤, 박지수
Korean J Child Stud.2022;43(4):499-510.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499
|
|
511 |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행복감 및 행복감 경로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영주
Korean J Child Stud.2022;43(4):511-524.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511
|
|
525 |
핀란드, 캐나다, 호주 유아교육과정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요소 탐색
강은진, 김아미, 이지운
Korean J Child Stud.2022;43(4):525-537.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525
|
|
539 |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 교사-아동 관계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
정영선, 박경현
Korean J Child Stud.2022;43(4):539-552.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DOI: https://doi.org/10.5723/kjcs.2022.43.4.539
|
|
|
|
|